매일신문

경북관광개발公, 대형마트 유치 추진…"공기업이 생존권 위협" 비난

보문단지 입구에 대규모 판매시설 추진…상인들 크게 반발

경북관광개발공사가 매각을 추진 중인 것으로 알려진 보문단지 입구 편익시설부지.
경북관광개발공사가 매각을 추진 중인 것으로 알려진 보문단지 입구 편익시설부지.

경주보문관광단지를 관리하는 경북관광개발공사(이하 공사)가 보문단지 입구에 대규모 판매시설을 추진하려 하자 보문단지 상인들은 물론 경주시내 상인들이 생존권을 위협하는 행위라며 크게 반발하고 있다.

보문단지 입구에 대형 판매시설이 들어설 경우 미관을 해치는 것은 물론 교통체증이 심각할 수밖에 없어 보문단지 활성화에도 걸림돌이 될 것으로 우려된다.

◆부지 8만2천㎡ 매각 추진

애초 보문단지 입구 보문호 바로 밑 부지는 편익시설부지(2만7천600㎡)와 관광농원부지(5만4천400㎡)로 구성돼 있었다. 공사는 관광농원부지를 편익시설부지로 전환해야 매각이 가능하다고 판단해 올해 초 경주시로부터 시설변경 승인을 받았다.

이후 공사는 '보문단지 종합재정비 계획' 용역결과 '최근의 관광 패턴은 대형화되어야 한다'는 방침을 정하고 관광농원부지로 있던 이 부지를 앞쪽의 편익시설부지와 합쳐 버렸다. 공사는 부지 매각을 추진, 국내 굴지의 유통 대기업과 매각 작업에 상당한 진전을 보기도 했다. 이 대기업은 이 땅에 대형 유통시설을 지을 계획을 갖고 있었다.

그러나 뒤늦게 문화재청이 수목시설지구로 묶어놓은 사실이 드러나 매각작업은 중단됐다. 문화재청은 이곳(8만2천㎡)이 명활산성 반경 500m 이내에 들어 있어 문화재 경관보호와 난개발을 방지하기 위한 조치라고 밝혔다. 수목시설지구란 건축물 높이를 7.5m의 기와지붕으로만 지을 수 있도록 건축행위를 제한하는 것이다.

이에 대해 공사는 이 땅을 매각하기 위해서는 원상 회복이 급선무라고 판단하고 "관광지구 내 시설을 제한한 것은 부당하다"는 민원을 제기해 문화재청의 최종 결정을 기다리고 있다.

◆상인 반발 및 교통 불편 불가피

보문단지 내 상인들은 물론 경주시내 상인들은 보문단지 입구에 대형 판매시설이 들어설 경우 상권의 위축이 가속화할 것으로 우려하고 있다. 더욱이 전국적으로 대형마트가 영세 상인들의 터전인 골목 상권 몰락을 부채질하는 상황에서 공기업이 전체 상인들을 막다른 골목으로 내몰고 있다며 반발하고 있다.

단지 입주 상인 최모(54) 씨는 "단지를 찾는 관광객이 줄어 가뜩이나 장사가 안 되는데, 공사는 땅을 팔려는 궁리나 하고 있다"면서 "다행히 경주시와 문화재청에서 개발 제한에 나섰다니 안심이 된다. 시와 문화재청의 제한 조치는 당연하다"고 말했다. 단지 입주 예정인 김모 씨는 "공사로부터 부지를 매입, 곧 건물 착공에 들어가려 하는데 공사가 입구에 대형 판매시설을 만들려 하는 것은 입주 상인들의 고통은 아랑곳하지 않은 채 자신들의 잇속만 채우려는 행위"라고 말했다.

교통 전문가들도 대형 판매시설이 들어서려는 곳은 보문단지의 관문으로, 자칫 대형 판매시설이 들어설 경우 심각한 교통 체증이 발생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이에 대해 경북관광개발공사 김정호 사장은 "지금도 매각을 추진중이나 매수자를 찾기 힘들어 진전된 것이 없다"고 해명했다.

경주·이채수기자 cslee@msnet.co.kr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