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경 투쟁과 이보다 한발 물러선 원내외 병행 투쟁을 놓고 갈등한 민주당이 결국 병행 투쟁을 선택했다. 일단 국회 예산심의에는 복귀하되 손학규 대표가 서울광장에서 장외 농성에 돌입하기로 하는 이른바 '주국야서'(낮에는 국회, 밤에는 서울광장) 투쟁 전략이다.
22일 민주당 최고위원회의에서 손 대표는 "의원들은 원내에서 예산투쟁을 벌이고, 저는 서울광장에 천막을 치고 청와대 불법 사찰 의혹 국정조사 요구 서명운동을 29일까지 벌이겠다"는 결심을 밝히고 예산 논의 복귀를 반대하는 의원들을 설득시켰다. 그리고 저녁에 짐을 싸서 서울광장으로 자리를 옮겼다. 손 대표는 "이 정부는 도청 사실을 감추려다 닉슨 대통령이 사퇴한 미국의 워터게이트 사건으로부터 교훈을 얻어야 할 것"이라며 "민주 수호 대장정을 통해 전국민과 함께 정부의 공안 통치를 끝장내겠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손 대표가 병행 투쟁을 실천하고 있지만 당내 강경 투쟁 기류는 여전하다. 정동영·천정배·박주선 최고위원 등은 여전히 "100시간 농성으로 얻은 것도 없는데 벌써 원내로 들어가선 안 된다"는 입장을 굽히지 않고 있고, 특히 정동영·정세균 계파로 분류되는 의원들도 '모든 의사일정을 거부하고 투쟁에 나서야 한다'는 주장에 동조하는 분위기다.
강경론자들은 당의 결정에 따라 한발 물러선 모양새지만 손 대표의 일방 독주를 견제하며 비주류의 존재감을 과시해야 하는 처지이기 때문에 당분간 강경 입장을 철회할 뜻은 없어 보인다.
박상전기자 mikypark@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매일문예광장] (詩) 그가 출장에서 돌아오는 날 / 박숙이
홍준표, 정계은퇴 후 탈당까지…"정치 안한다, 내 역할 없어"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세 번째 대권 도전마저…홍준표 정계 은퇴 선언, 향후 행보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