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사설] 구제역 급속 확산, 제대로 대응하고 있나

안동에서 구제역 감염 돼지와 소가 발견된 데 이어 영양 한우 농가에서도 구제역 의심 증상 소가 신고됐다고 한다. 영양 농가의 한우는 구제역 음성 판정이 나왔으나 구제역이 급속히 확산될 조짐이어서 우려가 크다. 정부나 지자체의 초기 대응에도 문제점이 적잖은 것으로 드러나 더욱 그렇다.

정부는 구제역 급속 확산 조짐에 어제 경북'경남 등 6개 도의 가축시장을 폐쇄한 데 이어 오늘부터 제주를 제외한 전국 82개 가축시장의 문을 닫았다. 농림수산식품부는 안동 돼지 농가의 주인이 11월 초 베트남을 방문한 사실을 확인하고 안동 일대에 대한 정밀 역학조사에 나서는 한편 비상 방역 체계를 가동했다고 한다. 베트남에선 안동에서 발병한 구제역 바이러스 혈청형과 비슷한 O형이 올해 초부터 퍼져 있었다는 것이다.

하지만 돼지 농가 주인은 귀국 후 5일 동안 농장 출입을 자제하라는 방역 지침을 어겼다고 한다. 방역 당국은 이 같은 사실을 구제역 확정 판정 이틀 만에 확인했단다. 늑장 대처로 비판받아 마땅하다. 게다가 방역 당국은 구제역 최초 발생지와 2차 발생지에서 시행한 돼지와 한우 살처분조차 제대로 마무리하지 못하고 있는 상태다. 전문 인력과 살처분 약품 공급 차질, 중장비 동원 늑장이 원인이라니 비상 방역 체계를 가동하기는 한 것인지 묻고 싶다.

초기 방역과 대응이 차질을 빚었을 뿐 아니라 구제역 1, 2차 발생지 사이의 축사 밀집 지역에 대한 방역 활동도 손을 놓고 있다고 한다. 그렇다면 구제역 1차 저지선은 이미 무너졌고 2차 저지선도 안심할 수 없는 상황으로 봐야 한다. 이번 구제역은 방역 강화 대책을 시행하는 가운데 발생했다. 방역 체계에 대한 근본적인 재검토와 함께 관련 법규의 정비를 서둘러야 하겠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