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기상재해 파괴력 갈수록 커져…1건당 사망자 17.5명으로

기상 이변이 잦아지면서 세계 각국은 사회경제적 파장과 경제적 손실을 줄이기 위한 대책 마련에 골머리를 앓고 있다. 기상 이변에 따른 재해 강도와 규모가 커짐에 따라 경제적 부담도 늘고 있어 국가적 차원에서의 대책이 요구되고 있다.

현대경제연구원은 올 하반기 발표한 '최근 기상 이변의 파급 영향 및 과제' 보고서를 통해 기상 이변으로 인한 사회·경제적 손실이 심각하다고 밝혔다. 1990년대 재해당 사망자 수가 7.6명이었으나 2000년대 17.5명, 피해액이 1990년대 6조3천억원에서 2000년대 19조원으로 늘었다는 것. 농산물 가격도 크게 올라 신선채소 물가지수가 올해 6~8월은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 20% 이상 증가했다고 분석했다.

계명대 환경계획학과 이명균 교수는 지난 10월 '제32차 IPCC 총회 개최기념 기후변화 전문가 초청 심포지엄'에서 '한국에서 기후변화의 경제' 논문을 통해 "앞으로 지구 온난화와 기상 이변으로 입는 경제적 손실이 막대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 교수는 2100년 한국의 평균기온이 현재보다 약 4℃ 상승할 것으로 예상하면서 2100년까지 기후 변화로 4대강 수질 자원 가치가 약 6% 떨어지고 이를 경제적 가치로 따졌을 때 36조9천억원에 해당할 것이라고 추정했다. 예상 손실 규모는 한강이 16조2천억원, 낙동강 15조4천억원, 영산강 2조8천억원, 금강 2조5천억원에 이를 것으로 전망했다.

채정민기자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