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명박 대통령이 1일 과학비즈니스벨트(이하 과학벨트) 선정과 관련, 백지 상태에서 공정하게 선정하겠다고 밝힘에 따라 충청권이 강력 반발하고 나서는 등 과학벨트 입지 선정을 둘러싼 정치적 논란이 격화되고 있다.
그러나 과학벨트 유치에 나서고 있는 대구경북으로서는 '대통령 공약'이라는 정치적 논란에서 벗어나 비교 우위를 바탕으로 본격적인 유치전에 나설 수 있는 명분을 확보하게 됐다는 전망도 제기돼 주목된다.
반면 이 대통령이 이날 신년좌담회에서 "(과학벨트선정)위원회가 아주 공정하게 할 수 있을 것"이라며 "이렇게 믿어주는 것이 좋으며 그것이 오히려 충청도민에게 도움이 된다고 생각한다"고 덧붙여 다른 지역의 반발을 무마한 뒤 충청권에 주는 수순을 밟는 것 아니냐는 관측도 조심스럽게 제기되고 있다.
이와 관련해 서상기 국회 과학기술위 한나라당 간사 등 지역의원들은 "과학벨트 선정위원회가 백지 상태에서 공정하게 심사를 하기로 한 만큼 대구경북으로서는 나쁘지 않다"며 "지켜봐야 한다"는 반응을 보이고 있다.
이 대통령이 과학벨트 공약이 "공약집에 있었던 것도 아니다"고 밝히면서 사실상 대선 공약을 백지화하자 야당과 안희정 충남지사 등 충청권 시·도지사들이 일제히 반박하고 나서는 등 충청권의 조직적인 반발이 거세지고 있다. 안 충남지사는 "과학벨트 충청권 공약을 백지화한 것은 원칙과 신뢰를 스스로 저버린 것"이라고 비난했고, 염홍철 대전시장과 이시종 충북지사도 각각 기자회견을 열어 "과학벨트는 공약대로 충청권에 조성되어야 한다"며 "백지에서 출발한다는 것은 충청도민을 우롱하는 처사"라고 주장했다.
청와대는 이 대통령의 과학벨트 관련 발언에 대해 즉각 해명에 나섰다. 김희정 청와대 대변인은 "질의답변을 전혀 예상하지 못한 상황에서 좌담회가 시작됐고, 과학벨트 질문이 나왔다"며 "(이 대통령의 발언은) '공약 백지화'가 아니다. 합리적으로 하겠다는 말"이라고 밝혔다. '공약 백지화' 발언은 (좌담회에서) 정관용 교수가 한 발언이라는 것이다.
김 대변인은 이어 "(충청권의 반발이 있을 것으로 본다는 질문에) '이건 반발이다 아니다 그런 뜻보다는 추진위원회가 아주 공정하게 할 수 있을 것이다. 그것이 오히려 충청도민에게 도움이 된다고 생각한다'라고 한 마무리말을 주목해 봐달라"고 주문했다. 충청권을 배제한 채 입지논의가 이뤄지는 것이 아니라는 뜻으로 해석해달라는 것이다.
이상헌기자 davai@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