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장기기증 되살리자… 대구 작년보다 절반 줄어

16일 김수환 추기경 선종 2년

2009년 김수환 추기경이 선종과 함께 장기기증을 하면서 불붙었던 장기기증이 2년 만에 급감하고 있다.

16일 김 추기경의 선종 2주년을 맞아 전국 곳곳에서 기념행사가 열리고 있지만 당시 맹렬히 불었던 장기기증 희망자 등록 건수가 크게 줄었다.

15일 국립장기이식관리센터(KONOS)에 따르면 2005년부터 7만5천~9만 명 수준을 유지하던 장기기증 희망등록자 수(골수기증 희망자 제외)가 2009년 김 추기경 선종 때 18만5천 명으로 두 배가량 늘었지만 지난해엔 12만4천377명으로 전년에 비해 32.8% 떨어졌다.

대구도 지난해 장기기증 희망자 수가 4천425명으로 나타나 2009년(8천320명)에 비해 절반 가까이 줄었다. 이는 2006, 2007년과 비슷한 수준. 김 추기경 선종 1주년인 지난해 2월에만 해도 장기기증 문화가 지속적으로 확산될 것이라는 예측이 많았지만 이를 무색하게 하며 장기기증이 줄고 있는 것이다.

전문가들은 장기기증 시스템 등의 개선이 뒤따르지 않아 장기기증 확산 분위기가 가라앉고 있다고 지적했다. 사랑의 장기기증운동본부 대구경북지부 관계자는 "일본과 유럽 등 선진국의 경우 출생과 동시에 장기기증이 의무화돼 거부의사를 밝히지 않는 한 장기기증으로 이어지고 있다"며 "우리나라는 장기기증 의사를 밝혀야만 기증할 수 있어 제도개선이 선행돼야 한다"고 말했다. 또 다른 관계자는 "뇌사자 신고 의무제와 같은 시스템이 갖춰져야 장기기증 문화가 제대로 자리 잡을 수 있다"고 제안했다.

유명인의 죽음에 반짝 관심을 갖는 시민의식도 장기기증 등록 감소의 요인이라는 의견이 있다.

장기기증 활성화를 위한 전국적인 연구모임인 'Organ Allocation 연구회'는 최근 '국내 장기기증 활성화를 위한 방안' 연구보고서를 통해 "전문적인 장기이식 코디네이터가 의학적으로 기증 가능한 상태인지를 확인하고 보호자와 접촉해서 기증 동의를 이끌어낼 수 있게 하는 시스템 구축이 절실하다"고 했다. 또 "일회성 홍보보다는 다양한 방법으로 장기 기증의 필요성과 방법 등을 지속적으로 알려야 한다"고 변화를 주문했다.

노경석기자 nks@msnet.co.kr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