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내년 총선 공천개혁 화두 '국민참여'

로봇
mWiz 이 기사 포인트

내년 총선을 앞둔 여야의 공천 개혁 경쟁이 관심을 모으고 있다. 한나라당과 민주당이 마련 중인 공천 개혁방안의 골자는 '국민참여경선제'다. 공정한 공천과 흥행이라는 두 마리 토끼를 잡겠다는 포석이지만 지금까지와 같은 공천방식으로는 국민의 기대 수준에 따를 수 없어 당선을 장담할 수 없을 것이라는 판단이 깔려 있다.

한나라당은 28일 최고위원회의에서 당 공천개혁특위(위원장 나경원)가 마련한 공천 개혁안을 논의했다. '상향식 공천'을 기본 개념으로 한다. 민주당과의 합의라는 전제가 붙지만 오픈 프라이머리가 원칙이다. 역선택을 방지하는 안전장치만 붙는다면 공개경선을 하겠다는 것이다. 이것이 불가능할 경우 '2:3:3:2 국민경선'(대의원 20%, 일반당원 30%, 일반국민 30%, 여론조사 20%)으로 간다는 것이 개혁안의 골자다. 컷오프제와 공천심사위원회 폐지 등의 내용도 들어 있다.

특위의 공천개혁안이 현실화될지는 미지수다. 동원 경선과 금품선거로 변질될 경우, 정치신인의 정치참여가 축소될 수 있는데다 동시 경선이 불발될 경우 다른 당의 '역선택'이 가능하다는 우려도 제기되고 있다. 특위는 이번 4·27 재보선부터 개혁안을 적용, 여권의 공천개혁 의지를 보여줘야 한다는 입장이다. 그러나 당 지도부는 당장은 곤란하다며 부정적이다. 당의 개혁안에 대해 친박계는 긍정적인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박 전 대표가 상향식 공천주의자라는 것이다. 이와 관련, 박 전 대표의 구체적인 입장이 주목된다.

민주당 역시 공천 개혁방안과 관련, 28일 '전(全)당원 투표제' 등에 대해 트위터와 페이스북 등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를 통해 일반 국민의 의견을 받고 답변하는 'SNS 집중토크쇼'를 진행했다. '전 당원 투표제'는 당원 투표를 오프라인+모바일 투표 형식으로 진행하되 투표율이 저조할 가능성에 대비, 당원 투표자 규모에 따라 대의원 투표를 10∼20% 반영하는 방안이다.

민주당은 국회의원 선거에선 여론조사 경선을 배제한 채 당원 50%, 일반국민 50%로 모바일 투표를 전면 실시하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고, 대선 후보 역시 100% 국민경선으로 뽑는 방안을 적극적으로 논의하고 있다.

이상헌기자 davai@msnet.co.kr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