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사설] 더 큰 위기 맞기 전에 에너지 과소비 줄여야

리비아 소요사태 등 중동'북아프리카 정세 변화로 국제유가가 배럴당 100달러 선을 훌쩍 뛰어 넘어서면서 에너지 절감에 비상이 걸렸다. 정부는 1일부터 에너지 경보단계를 '관심'에서 '주의'로 상향조정하는 등 본격적인 에너지 절감대책 시행에 들어갔다. 하루가 다르게 값이 치솟고 있는 에너지의 소비를 어떻게 효율적으로 관리하느냐에 따라 우리 경제가 좌우되기 때문이다.

에너지의 급격한 가격변동과 불안정한 수급이 경제에 어떤 파장을 몰고올지는 과거 수차례 경험한 에너지 위기 상황을 되돌아보면 쉬 알 수 있다. 에너지를 전량 해외에 의존하는 우리 입장에서 고유가는 경제에 큰 타격을 주게 된다. 따라서 요즘 같은 비상상황은 물론 평소에도 에너지 절약이 체질화되어야 하는 것이다. 그만큼 에너지 문제는 국가 존립을 좌우하는 중요한 사안이자 생존과 직결되는 문제다.

하지만 이에 대한 우리 사회 일부의 인식이 현실에 미치지 못하고 있어 안타깝다. 1일부터 공공'민간부문 할 것 없이 야간 조명 소등을 의무화했지만 많은 유흥업소의 옥외광고물'입간판이 밤늦도록 훤히 켜져 있어 위기상황을 무색게 하고 있다. 계도기간이라는 점이 작용했겠지만 향후 경보단계가 '경계'(130~150달러) '심각'(150달러 이상) 수준으로 높아지고 법으로 강제하기 전에 적극 에너지 시책에 동참하는 성숙한 시민의식이 아쉬운 것이다.

에너지가 불러올 위기를 슬기롭게 극복하기 위해서는 정책에 적극 호응해 불요불급한 에너지 사용을 줄여야 한다. 현 단계에서 적극적인 에너지 절감은 더 큰 위기를 피할 수 있는 유일한 해법이다. 에너지 과소비는 당장 국가 경제뿐 아니라 가계에 큰 주름을 짓게 된다는 점을 깨닫고 성숙한 시민의식을 가져야 할 때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