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사설] 상하이 총영사관 파문, 철저히 조사해야

중국 상하이 주재 한국 총영사관의 영사들이 중국 여인과 부적절한 관계를 맺으며 비자 발급 편의를 제공하고 내부 정보와 자료를 유출한 사실이 드러나 파문이 일고 있다. 지식경제부 김모, 법무부 허모, 외교통상부 박모 전 영사는 덩 씨로 알려진 문제의 여인과 알고 지내며 자료를 유출했고 이 중 김모, 허모 전 영사는 덩 여인을 두고 치정 다툼을 벌이기까지 한 것으로 알려졌다.

또 이번 사건으로 국무총리실 공직복무관리관실의 조사를 받은 김모 전 총영사가 부총영사와 심각한 갈등 관계를 빚은 것으로 드러나 사안의 심각성이 더해지고 있다. 총리실 등에 따르면 이번 사건으로 지난해 5월 상하이 엑스포 방문 당시 이명박 대통령의 의전 차량 이동 일정, 한국 정'관계 주요 인사들의 휴대전화 번호, 외교부 인사 동향 문건 등이 유출됐다고 한다.

문제는 청와대가 올 1월에 이 사건에 대한 보고를 받고 공직복무관리관실의 조사가 진행되고 있었는데도 일부 영사의 사표만 수리하고 사건을 서둘러 매듭지으려 했다는 의혹이 일고 있다는 것이다. 사건 조사가 꽤 진행된 시점인데도 덩 여인의 실체가 밝혀지지 않고 있는 점은 의구심을 살 만하다. 정부는 국가 기밀 자료 유출 여부 등을 철저히 조사해 엄중히 책임을 물어야 한다.

이번 사건은 재외공관 공직자들의 근무 기강 해이와 공관 관리에 큰 허점을 드러냈다. 덩 여인의 실체가 밝혀지면 더 큰 파장을 몰고 올 수도 있다. 덩 여인이 스파이가 아닌 브로커라 할지라도 자료 유출에 대한 책임은 무거울 수밖에 없다. 정부는 이번 사건을 계기로 재외 공관, 특히 외교 비중이 크고 정보 전쟁이 치열한 주요 재외공관 공직자들의 근무 기강 확립과 공관 관리를 위해 최선의 대책을 세워야 한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