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UAE 핵폐기물 경주로 온다고?"…정부·한전 "사실무근"

월간지 보도, 정치권서도 의혹 제기

사상 최대의 원전 수주를 기록한 아랍에미리트(UAE) 원전 수주(건설과 운영에 각각 200억달러)의 이면에 방사성 폐기물 처리를 우리나라가 맡아야 한다는 의혹이 제기돼 논란이 일고 있다.

그러나 정부는 '사실무근'이라며 즉각 반박하고 의혹 제기에 대해 강경 대응할 방침이다.

신동아 4월호는 'UAE 문건으로 본 원전 수출 내막-방사성 폐기물 부담도 한국이 떠안나'라는 제목의 기사에서 UAE 언론보도 및 UAE원자력공사(ENEC) 문건 등을 예로 들며 "UAE가 원전 핵폐기물을 자국 밖에서 처리할 계획"이라고 보도했다. 이어 "UAE가 자국 내 핵폐기물처리장을 건설하려는 움직임도 없다"며 "이런 핵폐기물은 계약자인 한국전력이 다시 가져갈 수도 있다"고 주장했다. 신동아가 주장한 의혹이 사실이라면 1만400MW급 4기의 원전에서 쏟아지는 방사성 폐기물은 경주에 위치한 국내 유일의 방사성 폐기물처리장에 쌓이게 된다는 것이다.

이 같은 의혹은 정치권에서 확대 재생산되고 있다. 민주당 강봉균 의원에 따르면 "후속계약을 봐야 알겠지만 처음에는 우리가 UAE원전을 수주할 때 완벽하게 관리까지 해주는 조건이 있었다"면서 "총 400억달러 규모의 UAE 원전수주는 건설 200억달러에 핵연료 처리에서 폐기까지의 관리 200달러로 구성된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는 또 "한국과 UAE 간 원전 계약을 보면 핵폐기물 관리 개념에 20년 동안 핵연료 처리부터 폐기까지 우리가 처리한다는 외신보도가 있었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정부 측은 이 같은 의혹을 전면 부인하고 의혹을 제기한 언론사에 대한 법적 대응 시사 등 강경한 입장이다. 지식경제부와 사업 주관 업체인 한국전력은 최근 해명 자료를 통해 "UAE원전 건설계약에는 '발주자(UAE원자력공사)가 사용후 핵연료 등 방사성 폐기물 처분에 관한 모든 책임을 진다'고 명확히 규정되어 있다"며 "신동아에서 언급한 추정은 전혀 사실이 아니다"고 반박했다. 한전 측은 신동아 보도 내용에 대해 언론중재위원회 제소와 신동아 4월호 배포 금지 가처분 신청을 법원에 내기로 했다.

정부는 "UAE에 들어설 원전은 500㎞ 밖에서 규모 8.5의 지진과 쓰나미가 발생해도 견딜 수 있게 설계했다"고 안전도를 강조했다. 최근 일본 원전 폭발의 부담감이 컸던 탓이다.

UAE 원전 사업은 건설비용만 186억달러(시공부문은 56억달러)이며, 시공부문 중 현대건설 지분은 시공부문의 55%인 30억7천683만5천850달러(한화 3조5천113억원), 삼성건설은 45%인 25억1천741만1천150달러이다. 1호기는 2017년 5월, 2호기 2018년 5월, 3호기 2019년 5월, 4호기 2020년 5월 준공 예정이다

박상전기자mikypark@msnet.co.kr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