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인 이하석이 시집 '상응'을 펴냈다. 시집 '것들' 이후 5년 만으로 32편의 시를 묶은 책이다. 근래에는 60, 70편을 한 권에 묶는 것이 일반적인데, 절반 정도로 내놓은 것에 대해 이하석 시인은 "독자들 읽기 편하시라고"라고 답했다. 그러면서 김수영, 김춘수 시인 등이 활동하던 시절에는 대체로 30여 편으로 시집 한 권을 묶었다면서 형식적으로 뒤를 돌아볼 때가 됐다는 점도 염두에 두었다고 덧붙였다.
'무엇에건 잘 슬피 물들고, 그래도 늘 깨끗하게/ 보인다, 본다./ 절망도 젊은, 약은 점쟁이 같으니라고./ 그의 언어는 가슴에서 나오다가 어깨를 돌아 날이 서서/ 우리 뒷덜미 치며 바람처럼 머리칼 흩뜨린다./ 어떤 말이든 무슨 강이건 막말로 맨 몸으로 건너간다./ 다시는 돌아오지 못할 것이다.'-젊은 시인- 중에서
이 시에서 보듯 이번 시집의 시들은 다소 서정적이다. 근래 젊은 시인들이 대단히 내면적이고, 개별적인 시를 쓰는 경향을 고려할 때, 이하석의 시는 익숙한 듯한데, 그래서 오히려 낯설다.
이하석 시인은 "문학언어는 원래 독자를 불편하게 한다. 익숙한 이성에 저항하는 것이 문학이다. 그러나 그 정도가 지나쳐 요즘의 문학언어는 정교하고 치밀하지만 소통이 안 되는 경향을 보인다. 이번에는 소통 쪽에 다소 무게를 두었다"고 말했다. 송재학 시인은 "가독성이 뛰어나서 몇 번이고 꼼꼼하게 읽게 만든다. 서가에서 편안하게 교감한다"고 말했다.
'은행나무의 하늘이 노랗게 내려앉는다./ 겨울비 오기 전 잠깐 밟아보는 푹신한 하늘./ 나무 위엔 봄 여름 가을 내내 가지들이 찔러댔던 하늘이 상처도 없이 파랗다. 가지들이 제 욕망의 잎들을 떨군 다음 겨울 오기 전 서둘러 제 꿈을 바람의 실로 꿰맸기 때문이다.'-하늘-
이하석 시인은 시편 수를 줄이고, 소통에 무게를 둘 뿐만 아니라, 마침표까지 빠짐없이 꾹꾹 찍어 시작과 끝을 알 수 없는 요즘 시풍을 낯선 눈으로 돌아보게 한다. 66쪽, 9천원.
조두진기자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野, '피고인 대통령 당선 시 재판 중지' 법 개정 추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