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9일 밀양 하남들에서 실시된 동남권 신공항 입지를 채점할 실무 평가단의 현장실사는 철저히 비공개로 진행됐다. 27명으로 구성된 평가단은 이날 낮 12시쯤 밀양 하남들에 도착해 미리 기다리던 김범일 대구시장, 김관용 경북도지사, 김두관 경남도지사, 박맹우 울산시장, 조원진 한나라당 의원(대구 달서병) 등으로부터 환영을 받았다. 평가단은 곧바로 공항 예정부지가 보이는 낙동강사업 15공구 현장 전망대로 이동해 류재영 국토연구원 부본부장으로부터 국토해양부가 2009년 실시한 용역 결과를 보고 받았다. 비공개인 탓에 밀양 측 관계자는 아예 참석할 수 없었다. 정웅기 대구경북연구원 박사는 "국토부 용역 결과가 비용 대비 편익(B/C) 0.73으로 한국항공정책연구소와 고려대에서 실시한 B/C 1.05보다 낮았는데 이를 설명할 수 있는 방법이 차단됐다"며 안타까워 했다.
◆밀양 신공항 경제성 높다=20여 분간 진행된 지방자치단체 설명회에 박광길 동남권 신국제공항 밀양유치 추진단장, 이우진 고려대 교수, 박경진 우주엔지니어링 부사장, 김윤곤 경남도 신공항담당 등 4명이 나섰다. 이 교수와 김 부사장은 전문성이 높고 지역 연고가 없다는 점이 고려됐다.
밀양 측 인사들은 B/C 문제를 집중적으로 거론했다. 최근 제기되는 동남권 신공항 백지화의 근거로 B/C가 너무 낮아 경제성이 없다는 주장이 나오고 있기 때문. 국토부가 2009년 실시한 용역 결과에서도 하남들의 B/C가 0.73으로 나왔다. B/C가 1 이상이어야 경제성이 있는 것으로 평가된다.
박 단장과 이 교수 등은 최근 한국항공정책연구소와 고려대의 용역 결과를 집중 설명했다. 이 안에 따르면 공항을 남쪽으로 약간 이동해 규모 7.48㎢로 건설하면 사업비 8조5천억원이 소요되고, 산지 10개만을 절개하면 B/C 1.05가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국토부 용역에서 제시된 사업비 10조3천억원보다 1조8천억원이 절감되는 안이다. 박 단장은 "국토부 용역 안보다 비용이 적게 들면서도 산도 덜 절토하는 안을 설명했다"고 말했다.
◆밀양이 가덕도보다 우월하다=이 교수는 하남들이 가덕도에 비해 사업비가 훨씬 적게 든다는 점을 집중 설명했다. 그는 "하남들은 산을 절개해 얻은 1.86억㎥의 토사량으로 공항부지 및 배후단지 조성에 사용할 수 있어 오히려 사업비를 절약할 수 있지만 가덕도는 부산 측의 주장인 2억2천만㎥의 토사를 구할 방법이 없어 사업비가 더 든다"며 "하남들은 토사의 절취량과 성토량에서 밸런스가 맞다. 하지만 부산 측은 토사를 어디에서 가져올지에 대해 분명한 설명이 없다"고 주장했다. 이 교수는 또 "연약지반이 하남들은 4~8m에 불과하지만 가덕도는 40~70m로 이를 보완하려면 수천억원의 비용이 들어간다. 또 하남들은 방파제가 필요없지만 가덕도는 태풍, 해일 등을 대비한 별도의 방파제까지 건설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 부사장은 "접근성, 공사비, 환경 부문 등에서 하남들이 가덕도에 비해 유리하다"는 점을 강조했다. 그는 "하남들과 가덕도의 여타 시설이 똑같다는 전제하에 두 지역을 비교하면 하남들은 일반매립으로 가능하지만 가덕도 앞바다는 연약지반 매립을 해야 하는 탓에 공사비가 2배 이상 들어간다"며 "또 하남들을 중심으로 70km 이내에 동남권의 대도시가 모두 있어 철도와 고속도로로 접근하기에 좋다. 그래야 주민이 접근하기 좋고, 외국인들도 많이 이용한다"고 말했다. 그는 환경문제와 관련 "가덕도는 해상매립을 해야 하는 탓에 토사를 별도로 가져와야 하고 이 과정에서 환경에 더 악영향을 끼칠 것"이라고 말했다. 봉화산, 무척산 절개와 관련해서는 "활주로 위치를 조정하면 절개를 하지 않아도 가능하다"고 설명했다. 평가위원들은 이들의 설명에 별다른 질문없이 묵묵히 듣기만 한 것으로 전해졌다. 박 단장은 "분위기가 좋았다"며 "밀양의 약점으로 생각하는 부분을 집중적으로 설명했고, 가덕도의 문제점을 설명하는 전략을 취했다"고 말했다.
◆가덕도, 평가 항목 조정 요구=평가단은 이날 오후 4시 가덕도 해상에서도 현장실사를 벌였다. 평가단끼리 비공개로 국토부 용역 결과를 들은 뒤 부산 측 인사로부터 별도의 설명을 들었다. 이 자리에서 최치국 부산발전연구원 기획실장은 "항목별 장단점을 설명했고, 평가 항목에서 중복되거나 상치되는 부분을 조정해야 한다는 의견을 내놨다"고 말했다.
이창환기자 lc156@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홍준표, 정계은퇴 후 탈당까지…"정치 안한다, 내 역할 없어"
세 번째 대권 도전마저…홍준표 정계 은퇴 선언, 향후 행보는?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매일문예광장] (詩) 그가 출장에서 돌아오는 날 / 박숙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