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의 동남권 신공항의 백지화 결정에 대해 박근혜 전 한나라당 대표는 31일 "당장 경제성이 없더라도 동남권 신공항은 필요한 것이라고 확신한다. 재추진해야 한다"고 말했다. 박 전 대표는 이날 오전 DGIST 총장 취임식 참석차 대구를 방문, "정부가 국민과의 약속을 어긴 것은 유감"이라며 정부의 백지화 결정이 잘못됐다는 점을 강조했다. 박 전 대표는 "앞으로 국민과의 약속을 어기는 일이 없었으면 좋겠다"고 밝혀 향후 신공항 문제를 둘러싸고 백지화 수용 방침을 밝히는 한나라당의 현 지도부와도 맞설 것임을 예고했다. 또한 자신의 대선 공약으로도 동남권 신공항 건설을 내걸 방침임을 내비쳤다.
박 전 대표가 원론적인 언급 수준에 머물 것이라는 예상을 넘어 보다 구체적으로 강한 어조로 재추진 의사를 밝힘에 따라 신공항 문제를 둘러싸고 박 전 대표는 이명박 대통령과 현 정부와는 대척점에 설 것으로 보인다. 이에 따라 백지화 결정에 불복 의사를 밝히며 독자 추진 등의 반발세를 이어가고 있는 영남권 여론은 더욱 고양될 전망이다.
박 전 대표의 이 같은 언급은 영남권 민심의 이반이 청와대나 정부, 그리고 한나라당 지도부가 생각하는 이상으로 부글부글 끓고 있다는 점을 고려한 것으로 보인다. 내년 총선과 대선에 직접 나설 사람은 이명박 대통령이 아니라 박 전 대표이기 때문이다.
우호적이지만은 않은 수도권 여론도 신경쓰이고 밀월관계를 유지해 온 이 대통령 및 친이계와의 관계 설정도 걸리는 부분이긴 하지만 무엇보다 자신의 최대 지지기반인 영남권 민심을 외면할 수도 없었다는 점이 가장 크게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여기에 원칙과 신뢰라는 자신의 정치적 트레이드 마크에 손상을 가하는 타협의 카드를 선택할 수 없었다는 고민도 배경으로 작용했을 것으로 분석할 수 있다. 지난해 지방선거에서 자신이 공천한 후보가 낙선하는 충격파를 경험한 점도 이런 결정을 하게 만들었을 것이다. 영남권 표가 언제나 박 전 대표 주머니 속의 존재는 아니라는 지적도 고려했을 것이다.
하지만 박 전 대표가 세종시 파동에 이어 신공항 문제로 이 대통령과 각을 세우게 된 점은 앞으로 2년에 가까운 시간을 긴장 상황 속에서 끌고 가야 한다는 부담으로 작용할 전망이다. 박 전 대표의 이날 백지화 비판은 더 나아가 백지화 무효 투쟁 등으로 번져나갈 수 있고 여기에 편승할 것이냐 아니면 주도할 것이냐의 선택도 박 전 대표에게는 큰 고민거리다.
최창희기자 cchee@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