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의 신공항 백지화 발표와 이명박 대통령의 대국민 사과 기자회견에도 불구하고 영남권의 반발이 숙지지 않으면서 수도권과 영남권 갈등의 불씨가 되고 있으며 오히려 독자 추진 등의 기류마저 나타나고 있는 등 신공항을 둘러싼 논란이 계속되고 있다. 특히 서울지역 언론들의 백지화 기정사실화 보도와 지방공항 예산낭비 우려에 대한 집중 보도에 강력하게 반발하는 움직임마저 일어나고 있다.
'경제적 이유로 백지화할 수밖에 없다'는 정부의 공식적인 발표에도 불구하고, 시간이 흐를수록 지역 여야 정치권과 시민사회단체를 중심으로 반발이 거세지고 있다. 반발에 그치지 않고 특별법 제정 등의 구체적 대안 마련 주장에까지 이르는 등 다른 양상을 나타내고 있는 것이다. 밀양을 주장한 대구경북과 울산, 경남 등에서는 독자 추진 의사를 밝히고 있고 부산은 김해공항의 가덕도 확장 이전안을 내놓고 있는 실정이다. 정부 결정 수용불가, 불복 움직임이 구체화되고 있는 것이다.
이 같은 움직임에 31일 박근혜 전 한나라당 대표의 '신공항 재추진' 발언은 가속도를 붙게 만들었다. 박 전 대표의 발언이 언론을 통해 알려지자 영남권 시민단체와 지역 여야 정치권은 즉각 환영 성명을 발표하고 '신공항 재추진 의사'를 밝히며 대정부 압박에 나서고 있다.
일부 시민사회단체들은 단식농성, 낙선운동, 궐기대회 등을 준비하고 있다. 무효화 소송 등 법적대응을 준비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커지고 있다. 시내에 내걸렸던 신공항 촉구 플래카드나 현수막이 그대로 내걸리고 백지화를 수용할 수 없고 계속 추진돼야 한다는 주장의 플래카드도 선을 보이고 있다.
국회의원들도 이에 동참하고 있다. 일부 의원들은 국토부나 정부를 상대로 행정무효소송을 준비중이고 대통령의 탈당을 요구하는 의원들도 나오고 있다. 밀양과 가덕도를 두고 신경전을 벌였던 지방자치단체도 이 대열에 동참해 대구'경북'경남'울산과 부산 광역단체장은 '백지화는 절대 수용할 수 없다'는 입장을 거듭 밝히며 동남권 신공항 독자 추진을 위한 연대 가능성까지 내비치고 있다.
더 큰 문제는 신공항 백지화에 따른 영남지역의 반발이 일시적인 요구나 반발이 아니라는 데 있다. 지역 경제침체와 맞물려 생존권을 위해 신공항을 요구하고 있는 만큼 신공항 문제가 해결될 때까지 수도권과 영남 간 갈등으로 고착화될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
최창희기자 cchee@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野, '피고인 대통령 당선 시 재판 중지' 법 개정 추진
검찰, '尹 부부 사저' 아크로비스타 압수수색…'건진법사' 의혹 관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