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사설] 지역 갈등 원인은 서울의 비대화에 있다

8일 오후 7시 대구시 중구 동성로 대구백화점 앞에는 경남-울산-경북-대구에서 동남권 신공항의 밀양 건립 재추진을 열망하는 영남권 1만여명이 촛불 시위를 한다. 광우병 사태 이후 잠잠하던 촛불시위가 이명박 대통령의 대선 공약 백지화 결정 이후 새롭게 불붙는 양상이다. 사진설명 : 뉴미디어국 최미화 기자 magohalmi@msnet.co.kr
8일 오후 7시 대구시 중구 동성로 대구백화점 앞에는 경남-울산-경북-대구에서 동남권 신공항의 밀양 건립 재추진을 열망하는 영남권 1만여명이 촛불 시위를 한다. 광우병 사태 이후 잠잠하던 촛불시위가 이명박 대통령의 대선 공약 백지화 결정 이후 새롭게 불붙는 양상이다. 사진설명 : 뉴미디어국 최미화 기자 magohalmi@msnet.co.kr

LH공사 본사 이전과 과학비즈니스벨트 입지를 놓고 자치단체끼리의 갈등이 확산되고 있다.

경남 진주와 LH공사 입지를 두고 경쟁하는 전북지사는 범도민 비상 시국 선포식장에서 삭발했다. 과학벨트 입지를 두고 영'호남으로의 분산 배치를 반대하는 자유선진당 대표는 정치 생명을 걸고 대표직 사퇴도 불사하겠다고 결의를 밝혔다. 지역의 절박한 형편과 유치 요구 여론에 따라 저마다 사활을 건 경쟁에 나서고 있다.

여권 내 자중지란도 심각하다. 충청 출신 한나라당 박성효 최고위원은 7일 최고위원회의에서 "이 문제가 정책 정치의 범위를 넘어 대통령의 인품에까지 번져 나가지 않도록 했으면 한다"고 발언, 파문을 일으켰다.

그러나 영남 지역 의원들은 국책 사업을 충청권이 독식하려 한다며 분산 배치를 요구하고 있다. 국가백년대계라고 하면서도 출신 지역에 따라 국책 사업의 미래를 보는 시각이 첨예하게 갈리는 것이다.

국책 사업의 유치를 위한 지역 간 경쟁은 불가피하다. 낙후된 지역 발전을 위해 꼭 필요하다는 지역 주민들의 절박한 요구는 당연한 일이다. 그러나 자치단체 간 지나친 경쟁이 지역감정을 자극, 국가 전체가 사분오열될 수도 있다는 점은 우려스런 일이다. 정부와 정치권이 국가 균형발전에 대한 청사진을 제시하지 못한 때문이다.

지방의 유치 경쟁은 근본적으로 서울과 수도권의 지나친 팽창에 그 원인이 있다. 돈과 사람이 서울로 몰리면서 지방은 미래의 활로를 잃고 있는 게 오늘의 현실이다. 작금의 지역 갈등의 책임을 지역 이기주의로 몰고 갈 수는 없다.

나라를 갈가리 찢어놓는 지역 간 출혈 경쟁의 갈등을 풀기 위해선 먼저 서울의 비대화를 막아야 한다. 국가 균형발전의 실천은 우리의 미래를 좌우하는 최우선 과제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