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동해안 원전 '점점 더 불안'…안전 운전 불신감 팽배

'수명연장 반대' 잇따라

일본 후쿠시마 원전 폭발사고 이후 국내 원전에 대한 불안감이 확산되고 있다.

특히 내년에 수명이 끝나는 경주 월성원전, 지진을 제대로 감지 못하는 울진원전, 경주와 울진 등 동해안 활성단층대, 방파제 없이 건설될 신규원전 등에 대한 철저한 점검과 안전대책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높다. 관계기사 3면

1983년 상업운전을 시작한 월성원전 1호기는 현재 운전 연장을 위해 압력관 교체작업을 벌이고 있지만, 시민'환경단체 등은 수명연장의 위험성을 경고하고 있다. 이번에 폭발사고가 일어난 후쿠시마 원전 1~4호기도 노후된 순서대로 폭발했기 때문에 원전 안전성과 수명과의 관련성이 제기되고 있는 것이다.

경주 월성원자력본부가 위치한 양남면 주민들로 구성된 '양남면 발전협의회'(위원장 이진곤)는 19일 한국수력원자력 본사 등 원전 관련 주요기관을 방문, '월성원전 1호기 수명연장 반대' 입장을 전달했다.

협의회 소속 주민 32명은 이날 오전 7시 양남면사무소 앞에서 버스로 출발해 한수원 본사와 교육과학기술부, 지식경제부 등을 차례로 방문해 월성원전 1호기 수명연장 철회를 강력히 요청했다.

주민들은 김종신 한수원 사장 등을 면담한 자리에서 "노후 원전의 위험성은 후쿠시마 원전의 폭발사고를 통해 확연히 드러났다"면서 "월성 1호기는 이미 수명을 다한 만큼 수명연장 없이 철거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또 월성원전 앞 읍천단층을 비롯해 원전이 자리 잡고 있는 동해안 일대 활성단층으로 인해 원전 측의 안전 홍보에도 불구하고 강진 발생 가능성이 상존하고 있다는 환경단체의 주장에 무게가 실리고 있다.

기존원전에 대한 불안감과 함께 방파제 없이 지을 계획인 신규원전에 대한 우려도 나오고 있다. 한국수력원자력이 2017년까지 순차적으로 도입할 국내 원전 10기에 대해 방파제 없이 짓겠다고 하고, 신울진원전 1, 2호기의 경우 해안가 진입로 보호공사를 당초 콘크리트 구조물로 시공하려다 조경수 식재로 바꾸기로 방침을 정하면서 주민들과 환경단체들이 반발하고 있다.

경주·이채수기자 cslee@msnet.co.kr

울진·박승혁기자 psh@msnet.co.kr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