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이진우의 분석! 아파트] (22)대구 달성군 화원읍

산업단지 거주지역…중소형 많아 근로자·신혼부부에 인기

대구 달성군 화원읍의 경우 성서산업단지와 달성산업단지가 가깝고 중소형 아파트의 비율이 높아 젊은 층이 많은 지역 중 한 곳이다. 특히 지난해 이후 중소형 아파트의 부족 현상이 심해지면서 비교적 가격이 저렴한 이 지역에는 월배나 대곡지역에서 유입되는 인구도 다소 늘었다. 화원의 경우 달서구 대곡지구와 월배지역과 경계를 이루고 있어 비슷한 생활권을 가지고 있다.

◆연령대별 고른 분포

달성군의 인구 구조는 연령대별로 고른 분포를 가지고 있다. 즉 연령대별 쏠림 현상이 없어 시장의 수요변화에는 안정적으로 보인다. 어느 한 연령대도 20%를 넘는 경우가 없이 분포가 고르다. 가장 비율이 높은 층이 18.3%인 40대이다. 10세 미만은 8.86%로 가장 낮게 나타나고 있다.

달성군 화원읍은 올 들어(1월 1일~4월 4일) 아파트 매매가격이 4.43% 상승했다. 동일 기간 대구 평균(1.87%)이나 달성군 평균(3.38%)보다 훨씬 높은 상승률을 기록한 것이다. 하지만 전세가격 상승률은 1.83%에 그쳤다. 이는 대구 평균(3.4%)과 달성군 평균(3.67%)에 훨씬 못 미치는 수준이다. 전세시장의 경우 지난해 하반기 가격 상승에 대한 부담으로 조정국면을 보이고 있다.

◆중소형 비중 높고, 가격 저렴

화원읍의 3.3㎡당 평균 매매가격은 455만원으로 대구 평균(497만원)보다는 싸고 달성군 평균(409만원)보다 비싼 것으로 조사됐다. 3.3㎡당 전세가격도 화원읍이 312만원으로 대구 평균(358만원)보다는 낮고 달성군 평균(291만원)보다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매매가격 대비 전세가 비율은 68.6%를 기록하며 대구 평균(66.49%)과 달성군 평균(67.69%)보다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화원읍의 경우 중소형 비중이 높아 비교적 가격이 저렴하고, 성서산업단지와 달성산업단지가 가까운 관계로 신혼부부들이나 근로자들의 선호도가 높은 지역이다. 전통적으로 봄'가을 이사시즌에 선호도가 높은 요인도 이러한 이유에서 찾아볼 수 있다. 이러한 전통적인 강세는 계속 이어질 전망이며, 월배지역이 확장 되면서 월배와 달성군 화원읍은 거의 같은 생활권이 되고 있다. 여기에 월배지역에 비해 저렴한 가격은 젊은 층에게는 강점으로 작용할 것으로 보인다. 다만 자녀들이 중'고교에 진학하면 다른 지역으로 빠져나가는 경향이 있어 단점으로 작용할 것으로 전망된다.

##화원읍 대곡역 래미안

2009년 이후 꾸준한 상승 '강보합세'

대구 달성군 화원읍 대곡역 래미안은 2007년 7월 입주한 단지이다. 삼성물산㈜에서 건설한 단지로 111.98㎡ A형 484가구, 111.55㎡ B형 286가구, 111.94㎡ C형 176가구, 131.61㎡ A형 307가구, 131.45㎡ B형 58가구, 131.25㎡ C형 24가구, 160.28㎡ A형 40가구, 161.20㎡ B형 24가구, 164.03㎡형 52가구 등 1천451가구로 구성되어 있다.

대곡역 래미안의 경우 입주 후 2년이 지난 2009년 5월 이후 거래량이 급격히 늘면서 매매 가격도 회복세를 보이고 있다. 111.98㎡ A형의 경우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의 영향으로 일부 가격 조정을 받기도 했지만 2009년 이후 가격이 소폭 회복되다가 지난해 가을 이사시즌 이후 지역 전세난의 영향으로 가격이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지역 전세시장은 2008년 입주물량이 증가하면서 일부 하향 조정을 받았지만 2009년 이후 꾸준한 상승세를 보이며 강보합세가 이어지고 있다. 매매가격은 시세 기준으로 상한가 2억1천800만원 하한가 2억원 사이에서 형성되고 있으며, 최근 거래가격도 대부분 시세 범위 안에서 안정적으로 나타나고 있다. 전세가격은 상한가 1억5천만원에서 하한가 1억4천만원 사이에서 형성되고 있다. 매매가격 대비 전세가 비율은 69% 정도를 기록하고 있다.

대곡역 래미안은 행정구역상으로는 달성군 화원읍이지만 실질적으로 달서구 대곡지구와 월배 지역과 인접해 있어 이들 지역과 생활권을 같이하고 있다. 거래량이 증가하면서 가격의 회복세도 이어지고 있다.

부동산114 대구경북지사장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