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사설] 항공사 성수기 연장, 항공료 편법 인상 억제해야

국내 항공사들이 성수기를 연장 편성, 이용 고객들의 불만을 사고 있다.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은 각각 지난해 57일과 49일이던 성수기를 올해 19일과 27일씩 늘려 76일로 정했으며 저가 항공사들도 성수기를 늘려 잡았다. 연말연시, 설 및 추석 연휴, 여름 휴가철이 성수기에 해당됐으나 올해에는 사이에 낀 평일까지 포함해 징검다리 연휴 전체를 성수기로 포함시켰고 여름 휴가철 성수기도 6일이나 늘려 잡았다.

항공사들이 비수기에 비해 항공료가 10% 정도 비싼 성수기를 1년의 20%가 넘게 대폭 늘림으로써 사실상 꼼수를 부려 요금 인상 효과를 거두고 있다. 항공료를 조정할 경우 국토해양부의 신고 또는 승인을 받아야 하지만 성수기는 자의적으로 결정할 수 있도록 돼 있는데 이러한 허점을 교묘하게 이용한 것이다. 편법으로 항공료를 인상하는 것은 기업 윤리상 비판받을 수밖에 없다.

항공사들은 평시에 좌석이 빈 채 운항하는 항공기가 늘고 적자도 증가하고 있어 이를 만회하기 위해 성수기를 늘렸다고 해명했지만 사실과 맞지 않다. 대한항공은 지난해 매출 11조 4천592억 원, 영업이익 1조 1천192억 원으로 영업이익이 2009년의 1천334억 원보다 7배 이상 증가하는 등 사상 최대 실적을 기록했다. 아시아나항공도 지난해 매출 5조 726억 원, 영업이익 6천357억 원을 올리며 흑자 전환했다.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은 내년 성수기도 각각 69일과 73일로 올해와 비슷한 규모로 정해 놓았다. 정부의 눈길을 피해 정하는 데 특별한 기준이 없는 성수기를 늘리는 것이 항공사의 수익을 올리는 수단으로 자리 잡고 있는 셈이다. 정부는 성수기를 정하는 기준을 새로이 마련, 항공사들의 편법적인 항공료 인상을 억제해야 한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