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붕어빵을 찍어내듯 천편일률적인 교육은 실효성이 없습니다. 학생들에게 자율과 창의성을 길러주는 교육을 실시해야 희망이 있습니다."
계명대가 시상하는 제15회'계명 참스승상'을 받은 경상여고 박용태(50) 교사. 그는 25여 년 동안 체험과학 교육에 남다른 열정을 쏟아 교육 연구부문 참스승상을 받았다.
그는 과학교육을 위해 방과후 과학동아리인 경상여고 과학연구회(GSSL)를 2007년 조직, 과학도의 꿈을 심어주고 있다. 현재 참여 학생은 34명. 한 달에 한 번씩 모임을 갖고 모둠별로 과학 테마를 정해 과제를 수행하고 다음 모임에 수행 과제 결과를 발표하고 있다. 학생들의 연구주제도 별의 일생, 블랙홀, 유전자 식품 등에 이르기까지 다양하고 연구 내용도 깊이가 있다.
이 과학동아리는 대학 실험실 탐방에서부터 환경시설공단 체험 등 현장체험 학습도 자주 하고 동아리 연구내용은 연말에 자료집으로 발행하고 있다.
"천재는 노력하는 자를 이길 수 없고, 노력하는 자는 즐기는 자를 이길 수 없다는 말이 있지 않습니까. 미래의 과학도들에게 호기심과 성취 욕구를 심어주는 게 가장 중요하다고 봅니다."
그는 또 과학교사 5명과 함께 2004년 대구시교육청 교과연구 활동인 UCI창의적 과학사고연구회를 조직해 다양한 실험학습 자료를 개발'적용하고 있고, 중등교원연구회인 HOSIM 연구회도 만들었다. 그는 이 연구회가 대구시내 과학교사 연구활동을 주도하고 창의적 사고형성의 학습프로그램을 개발해 6년 연속 최우수 연구회로 선정되는 데 견인차가 됐다.
"학생들은 교사가 아는 만큼, 교사의 수준만큼 배웁니다. 전공교과에 대한 폭넓은 지식과 실력을 갖추고 학생들의 과학교육을 이끌겠습니다."
그는 과학교육의 저변확대를 통해 제자들 중에서 노벨상을 수상하는 과학도가 나오는 게 최고의 희망이라고 했다.
2002년 헝가리 방사선화학회 학술발표대회에 참여하기도 한 그는 2003년 SCI(과학논문인용색인)급 과학우수저널 Science Direct에 논문을 게재하는 등 왕성한 활약을 해오고 있다. 또 2009년 개정교육과정 융합형 과학교재 개발에 참여했고, 대학수학능력시험 출제분석요원으로 활동하기도 했다.
그는 앞으로도 능력 있는 교사들과 함께 과학교과서의 내용 중 탐구실험활동이 부족한 부분을 보완할 수 있는 탐구활동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을 개발해 학교에 보급하는 일에 전념할 계획이다.
박 교사는 2003년 제49회 전국과학전람회에서 장관상인 특상을 수상했고 2009년에는 교과부와 한국과학창의재단이 주관한 올해의 과학교사상을 수상하기도 했다.
박 교사는 현재 이 학교 3학년 진학부장으로 학생들의 진로나 고민을 들어주는 일도 그의 몫이다. 대학진학이 어려운 기초생활수급자나 차상위계층 학생들은 장학재단과 연결해 장학금을 알선하고 있다.
영덕이 고향인 그는 대건고등학교를 졸업하고 경북대 대학원에서 화학교육을 전공했다.
김동석기자 dotory125@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홍준표, 정계은퇴 후 탈당까지…"정치 안한다, 내 역할 없어"
세 번째 대권 도전마저…홍준표 정계 은퇴 선언, 향후 행보는?
[매일문예광장] (詩) 그가 출장에서 돌아오는 날 / 박숙이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