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김기진의 육상 이야기] 한국 최고 공식기록은 '마봉옥'

한국마라톤의 역사는 1936년 베를린올림픽에서 우승한 손기정 이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한국인 최초의 마라톤 공식기록은 마봉옥이 갖고 있다. 1927년 조선신궁체육대회에서 3시간29분37초로 우승한 기록이다. 이어 인력거꾼 이성근이 1930년 역시 같은 대회에서 2시간36분30초로 최고기록을 수립했고, 1931년 고교생 김은배는 2시간26분12초의 당시 세계최고기록(비공식)으로 우승했다.

올림픽 마라톤에 첫 출전한 한국인은 권태하와 김은배다. 1932년 LA올림픽에서 김은배는 6위, 권태하는 9위를 차지했다.

한국인 첫 올림픽 금메달리스트 손기정은 1932년에 처음으로 마라톤코스를 완주했고 800m, 1,500m는 물론 5,000m와 10,000m에서도 여러 차례 우승하며 중장거리의 국내 최강자로 군림했다. 손기정은 1935년 2시간25분14초의 당시 세계최고기록(비공식)을 세운 뒤 1936년 제11회 베를린올림픽에서 2시간29분19초의 기록으로 한 많은 우승 월계관과 청동투구를 받았다.

해방 이후 1947년 서윤복이 가장 오랜 역사를 가진 보스톤마라톤에서 당시 세계최고기록에 해당하는 2시간25분39초로 우승, 마라톤 강국 한국의 이미지를 널리 알렸으며, 1950년 같은 대회에서 함기룡이 1위, 송길윤이 2위, 최윤칠이 3위를 차지, 세계를 더욱 놀라게 했다. 1956년 제16회 멜버른올림픽에선 이창훈이 2시간 28분45초로 4위를 차지하며 마라톤 한국의 저력을 입증했다.

그러나 한국마라톤은 이창훈이 1958년 도쿄아시안게임에서 우승한 후 침묵의 40년을 보냈다. 그렇지만 마냥 침묵만이 이어진 것은 아니었다. 김양곤의 1982년 뉴델리 아시안게임 우승, 1984년 이홍열의 2시간14분대 진입, 반영만, 정만화, 유재성, 송재필 등이 피나는 기록 단축을 이어왔으며, 1990년대 들어 허의구, 김원탁, 김완기 등이 비로소 2시간12분벽을 돌파하면서 다시 세계정상권에 접근하기 시작했다.

1992년 혜성처럼 등장한 황영조는 벳부-오이타마라톤에서 2시간8분47초라는 엄청난 기록으로 9분벽을 돌파했고 같은 해 바르셀로나올림픽에서 역사적인 '몬주익 우승'의 신화를 창조했다. 1991년까지 세계기록과 5분12초의 격차를 보였던 한국최고기록은 황영조와 이봉주, 김완기, 김재룡 등이 경쟁하던 황금기를 거치면서 1998년에 이르러 44초까지 좁혔으나 현재 2시간7분20초(이봉주'2000년 도쿄마라톤)로 다시 3분21초의 격차를 보이고 있다.

황영조의 은퇴로 우려의 목소리가 높았지만 이봉주는 기대 이상의 성과를 보이며 한국 마라톤의 대를 이어나갔다. 이봉주는 1996년 애틀랜타올림픽에서 은메달을 목에 걸었고 후쿠오카마라톤에서도 우승했다. 이봉주는 1998년 로테르담마라톤에서 2시간7분44초로 당시 한국 신기록을 수립했으며 1998년 방콕과 2002년 부산아시안게임에서 우승하며 아시안게임 2연패의 금자탑도 쌓았다.

2010년에는 지영준이 광저우아시안게임에서 우승하면서 이봉주 이후 침체된 한국마라톤의 차세대 기수들에게 용기를 주고 있다. 우리선수들은 고온다습의 악조건에서 강한 특성을 나타내면서 보스턴마라톤에서 3차례, 올림픽에서 2차례 우승을 차지했다. 2011 대구세계육상선수권대회 마라톤의 우승자도 고온다습에 강한 선수가 차지할 가능성이 높은데, 우리선수들이 좋은 성적을 내기를 기대해본다.

김기진 계명대 체육학과 교수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