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민들은 국경 의식이 점점 희박해지고 있고, 단일민족 신화도 서서히 사라져가는 것으로 드러났다.
한국연구재단 지원으로 계명대 국경연구소(소장 이성환 교수)가 여론조사 전문기관인 한국리서치에 의뢰해 제주도를 제외한 전국 19세 이상 성인남녀 1천19명을 대상으로 한 면접조사에서 이같이 드러났다.(표본오차 95%, 신뢰수준 ±3.1%포인트)
이성환 계명대 국경연구소장 겸 한국연구재단 '국경과 무국경의 공존 연구팀' 책임자는 "이번 조사에서 경제적으로 영토적 국경 개념이 무너지고 있지만 국민 의식 측면에선 오히려 국경 의식이 강화되는 측면이 있었다"고 분석했다.
◆국경 변화에 대한 인식
한국과 다른 국가 간 경계가 어떻게 변화했다고 생각하느냐는 질문에 '약화됐다'가 62%, '강화됐다' 35.6%, '모름' 2.5%로 국가 간 경계가 희미해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계가 약화된 원인은 '경제 교류 증대'(38.1%), '안보 등 정치 교류 증대'(20.9%), '외국인 이민자 유입 등 문화 교류 증대'(16.1%), '여행자유화 등 인적 교류 증대'(15.1%) 순으로 높게 나왔다.
세계화 시대에 국가 간 경계가 어떻게 변할 것이냐는 질문에는 '약화될 것'(41.9%), '지금과 크게 달라지지 않을 것'(37.8%), '강화될 것'(19.9%), '모름'(0.4%) 순으로 답했다.
◆독도 영유권 분쟁
한일 간 독도 영유권 분쟁의 원인으로는 '일본의 독도 주변 자원에 대한 욕심'(40.6%), '일본의 침략 야욕'(20.1%), '한국의 국력 부족'(19.5%) 순으로 답했다. 독도 문제에 대한 정부의 대응에 대해서는 '찬성'(26.6%), '반대'(72.8%), '모름'(0.6%) 순으로 나타나 대다수 국민이 독도 문제에 대한 정부의 대응에 불만을 표시했다. 그러면서 독도 문제 해결을 위해 한국 정부가 취해야 할 바람직한 방법으로는 '강력한 외교적 대응'(91.7%), '조용한 외교'(7.7%), '모름'(0.6%) 순으로 답했다. 또 가장 적합한 대응 방법이 무엇이냐(복수응답)는 질문에 '국제사회 홍보 강화'(60.8%), '독도에 사람이 살 수 있는 마을 건설'(48%), '경찰 대신 군 파견' (34.4%), '방파제 건설 등을 포함한 실효적 지배강화'(26.2%) 등을 제안했다.
◆간도와 백두산
한국의 북쪽 경계선이 어디냐는 질문에는 '압록강과 두만강'(45.7%), '휴전선'(38.5%), '압록강과 간도'(10.5%), '압록강과 송화강'(3.5%), '모름'(1.9%) 순으로 답했다. 백두산이 어느 나라 산이라고 생각하느냐는 질문에 '한국(북한)의 산'(82.1%), '한국과 중국 공동의 산'(14.4%), '중국 산'(3.3%), '모름'(0.2%) 순으로 답했다.
간도에 대해 알고 있느냐는 질문에 '들어본 정도'(45.3%), '처음 듣는다'(33%), '알고 있다'(21.7%) 순으로 인식했고, 간도가 어느 나라 땅이라고 생각하느냐는 질문에는 '한국 땅'(42.8%), '중국 땅'(30.8%), '한국과 중국 공동의 땅'(24.1%) 순으로 나왔다.
간도가 한국 땅이라면 되찾을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하느냐는 질문에는 '되찾을 수 있다'(30%), '되찾을 수 없다'(69%), '모름'(1%) 순으로 응답해 국민들은 현실적으로 되찾기가 어려울 것으로 봤다.
간도 문제에 한국 정부가 해야 할 가장 시급한 과제로는 '간도에 한국문화를 유지하도록 지원'(38.9%), '간도 조선인에게 한국 국적 부여'(22.5%), '간도에 경제적 투자'(18.5%), '간도 영유권 주장'(18.3%) 등을 제시했다.
◆다문화가족
외국인 노동자들이 3D 업종에 종사하는 것이 우리 경제에 도움이 되겠느냐는 질문에 '그렇다(도움을 준다)'(91.9%)는 응답이 '그렇지 않다(도움이 안 된다)'(8.1%)는 비율보다 크게 높았다. 외국인 노동자들에 대한 관리감독이 강화되어야 하느냐는 질문에는 '그렇다(강화돼야 한다)'(78.8%)는 응답이 '그렇지 않다(강화할 필요 없다)'(21.2%)는 것보다 훨씬 높게 나왔다. 저출산 문제 해결을 위해 다문화가족을 장려해야 하느냐는 질문에는 '그렇다(장려해야 한다)'(57.7%)는 응답이 '그렇지 않다(장려할 필요 없다)'(42.2%)는 답변과 엇비슷해 다문화가족에 대한 선입견이 완전히 가시지 않았음을 보였다.
다문화가족 자녀들이 인종차별을 받는다고 생각하느냐는 질문에는 '그렇다(차별을 받는다)'(75%)는 응답이 '그렇지 않다(차별받지 않는다)'(24.9%)보다 크게 높았다.
한국사회는 '다인종-다문화' 사회라고 생각하느냐는 질문에는 '그렇다'(49.7%)와 '그렇지 않다'(50.3%)로 답이 엇비슷했다.
이중 국적을 허용해야 하느냐는 질문에는 '그렇다(허용해야 한다)'(40.1%)보다 '그렇지 않다(허용해선 안 된다)'(59.8%)는 답이 높게 나왔다. 국내 거주 외국인들에게 지방선거 투표권을 줘야 하느냐는 질문에는 '그렇다(투표권을 줘야 한다)'(44.2%)와 '그렇지 않다(줘서는 안 된다)'(55.7%)는 응답이 비슷했다.
한국은 계속해서 단일민족을 유지해야 하느냐는 질문에 '유지해야 한다'(43.6%), '유지할 필요 없다'(56.3%), '모름'(0.1%) 순으로 조사됐다. 자신의 자녀가 다문화가족 자녀와 사귀는 것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느냐는 질문에는 '찬성'(61.3%)이 '반대'(38.7%)보다 많아 다문화가족 시대가 보편화된 인식을 보였다.
가장 친밀하게 느끼는 국가나 지역으로는 '미국'(69.4%), '중국'(13%), '일본'(9%), '유럽'(5.3%), '중남미'(2.7%) 순으로 대답했다.
◆통일 인식
통일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느냐는 질문에 '10년 후쯤 점진적으로 이뤄져야 한다'(46.5%), '현 상태가 더 낫다'(31.2%), '하루빨리 이뤄져야 한다'(22.2%)고 응답했다. 남북한의 통일이 가장 필요한 이유는 '안보위협 해소'(32.3%), '민족통합'(25.4%), '경제발전'(24%), '영토회복'(11.4%), '북한 주민의 해방' 순으로 대답했다. 개성공단 등 남북 간 경제협력이 통일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하느냐는 질문에는 '그렇다(도움이 된다)'(58.5%), '영향이 없다'(24.6%), '그렇지 않다(도움이 안 된다)'(16.8%) 순으로 조사됐다.
정부가 추진하는 대북정책의 방향에 대해선 '강경 대처해야 한다'(55.9%)와 '화해 협력을 강화해야 한다'(43.3%)는 응답이 팽팽해 우리 사회의 이념적 편가름이 심하다는 사실을 보여주고 있다.
'핵 포기 없이 경제 협력 없다'는 현 정부의 대북 정책에 대해서는 '찬성'(76.8%)이 '반대'(21.8%)보다 훨씬 높았다. 북한의 무력도발 대응방식은 대부분의 국민이 '적극적이거나 적당한 군사적 대응 조치를 해야 한다'(97%)고 답했다.
이창환기자 lc156@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홍준표, 정계은퇴 후 탈당까지…"정치 안한다, 내 역할 없어"
[매일문예광장] (詩) 그가 출장에서 돌아오는 날 / 박숙이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세 번째 대권 도전마저…홍준표 정계 은퇴 선언, 향후 행보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