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북도와 울릉군, 산림청 등이 생태계 교란을 이유로 중단했던 독도 나무심기 사업을 재개하면서, '생태계 복원이냐, 훼손이냐'를 두고 논란이 일고 있다.
3개 기관단체는 27일 울릉군 서면 태하리에 독도산림생태계복원 육묘장 건립 기공식을 가졌다. 경북도와 울릉군이 사업비 10억원 들여 울릉군에 묘목생산기반(5천㎡)을 조성한 뒤 독도에 잘 적응하는 수종을 4년에 걸쳐 독도(동도) 주변에 1만 그루를 옮겨심는 독도산림생태복원사업을 시작한 것이다.
올해에는 토사절취'객토사업, 묘포장 만들기, 삽수(사철, 섬괴불, 보리밥나무) 채취 및 양묘등의 기반시설공사를 벌이고, 내년에는 묘목 육성(울릉) 및 독도산림생태복원(독도) 사업을 추진하며 묘목 이식, 해가림 설치 등 묘목 육성과 토양생태분석, 생태복원, 개량토양 운반 등 토양생태복원사업을 벌인다는 것. 3차년도에는 사철, 섬괴불, 보리밥 묘목 독도운반 및 식재, 묘목 굴취 및 울짱얽기와 바람막이 등을 설치하고, 4년차에는 손실된 묘목 메워심기 및 바람막이 설치 등의 사업을 지속적으로 벌인다.
경북도 관계자는 "해풍으로 인해 침식된 독도산림환경을 복원하고, 독도의 실효적 지배를 강화하기 위해 이 사업을 추진한다"고 취지를 밝혔다.
하지만, 독도 나무심기를 통한 독도 생태계 교란이나 훼손 우려도 제기되고 있다.
독도식목사업은 1970년도부터 울릉지역민 등 군내 각종 사회단체들이 나무심기를 시작해오다 1988년 푸른 울릉'독도 가꾸기모임이 결성된 후 본격적으로 사업을 추진했으나, 정부가 생태계 교란을 이유로 1996년부터 사업을 중단시켰다.
한국임학회장을 지낸 홍성천 경북대 명예교수는 "자연복원이 가장 바람직하지만 동도 경비대 주변과 등대 일부 훼손지역은 산림생태 조기 달성을 위해 인공복원 시도가 국민들과 공감대를 형성하고 있지만 신중을 기해야 한다"고 말했다.
환경단체 등 일부에서는 "독도 동'식물들의 생태계 변화가 예상된다"며 "정기적인 조사가 필요하다"며 나무심기에 우려를 나타냈다.
현재 독도 서도 물골 상단부에는 섬괴불나무,보리밥나무, 동백, 사철 등 나무 500여 그루가 자라고 있다.
허영국기자 huhyk@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