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학교' 변화는 어느 정도 마무리, 이젠 '교실'을 하나씩 바꿔야죠…우동기 대구시교

"'학교'를 변화시키는 정책은 어느 정도 시동이 걸린 것 같습니다. 이제부터는 '교실'을 변화시키는 정책들을 하나하나씩 실천에 옮길까 합니다."

우동기 대구시교육감은 취임 1주년을 앞둔 소회에 대해 "첫 민선교육감으로서 숨 안쉬고 뛰어온 것 같은 1년이었다"며 "교육 현장의 변화를 강조하면서 다양한 정책을 시도했는데, 교사, 학부모, 학생들이 많은 공감을 보내주셔서 큰 힘이 됐다"고 고마워했다. 그는 "특히 초'중등 교육의 중요성을 새삼 절감했던 1년이었다"고 덧붙였다.

우 교육감이 취임했던 지난해 7월은 대구 교육계에 여러 악재가 겹쳤던 시기였다. 교육 공무원들의 청렴도는 전국 시'도 교육청 중 꼴찌 수준이었고 학력은 바닥을 헤맸다. 전국적으로 연이어 터진 교내 성폭력 사건으로 학교 안전에 대한 국민 불신이 비등했다. '닫힌 교육계'에 대한 변화 요구가 쏟아졌다. 이런 반성은 취임 후 갖가지 관행을 몸소 겪으면서 실감할 수 있었다. "개인적으로 '교육가족'이라는 말을 좋아하지 않습니다. 온정적이고 폐쇄적인 느낌이 듭니다. 이제 우리 교육계는 좀더 개방되고, 협력과 견제의 장치를 갖춘 '교육공동체'가 돼야 합니다."

우 교육감의 이런 교육관은 지난 1년간 강력한 개혁드라이브로 작용했다. 기회 있을 때마다 학교 책임자나 교육 공무원들에게 '이래서는 안된다'고 쓴소리를 쏟아냈다. 인사, 재정, 학력 등 전 분야에 걸쳐 변화를 채근했다. 출'퇴근을 이용해 200여 개 학교를 불시에 방문했고, 현대판 신문고 격인 '교육감 핫라인'을 설치했다. 초기엔 '대학 총장 출신 교육감'의 이런 행보에 반감 섞인 시각도 적잖았다. 우 교육감은 "힘든 교육 여건을 얘기하며 불만을 털어놓는 교사들을 만날 때마다 시집 간 딸이 친정에 찾아와 하소연하는 듯했다"며 "교직의 자부심을 높이는 정책을 실천할 것"이라고 했다.

우 교육감이 지난 1년간 중점 추진해 온 변화의 세 가지 핵은 교육복지 확대와 청렴도 회복, 학력 향상이다.

그가 공약으로 내건 '특성화고 전면 장학금 지급'과 '만 5세 유아교육비 지원'은 교육과학기술부 주요 정책으로 받아들여졌다. 2014년까지 대구 초'중'고교생 10명 중 4명이 무상급식을 받을 수 있도록 저소득층 자녀 중심의 무상급식 정책을 펼치고 있다. 우 교육감은 "2014년이 되면 달성군 지역은 100%, 서'남구 지역은 80% 정도의 학생들이 무상급식을 받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대구 교육의 해묵은 숙제인 지역간 학력격차 해소에도 공을 들였다. 우 교육감 취임 후 16개 자율형 공'사립고가 등장했고 리더십 중점학교, 자기주도학습 중점학교 등 교육 격차 해소를 위한 다양한 형태의 정책들이 도입됐다. 그중 고교 기숙사 건립 사업은 반대여론에 직면하기도 했다. 우 교육감은 "수성구와 비수성구간의 극심한 학력 격차를 해소하려면 고교 기숙사와 같은 지원책이 절실하다. 결코 소수 학생을 위한 정책이 아니다"고 재차 강조했다. 이런 '학력 부양책'은 최근 '학력 융평(隆平'상향평준화)'이라는 이름의 공교육 내실화 정책으로 이어지고 있다.

우 교육감은 '이제는 교실이 변화해야 할 때'라고 강조했다. 학교 변화가 제도의 변화라면, 교실 변화는 사람의 변화로 요약할 수 있다. 우 교육감은 "교사들에게는 잡무를 줄여 학생 생활지도, 수업연구 등에 더 집중할 수 있도록 하고, 교장 등 학교 책임자에게는 다양한 평가 잣대를 활용해 학교 발전 노력을 주문할 것"이라며 "특히 앞으로의 1년은 교육공동체 구성원 모두가 정직과 신뢰의 시스템을 쌓을 수 있는 도덕성 회복운동에 나서겠다"고 말했다.

우 교육감의 지난 1년에 모두가 박수를 보내는 것은 아니다. 고교 기숙사 건립 문제는 전교조와 시민사회단체 등으로부터 '엘리트 교육 정책'이라는 거센 비난을 받아 철폐돼야 한다는 요구가 높게 일고 있다. 고교 기숙사 건립 문제는 현재도 뜨거운 감자로 남아있다. 학원 심야 교습은 오후 10시로 제한하면서도 정작 인문계 고교에서 진행하는 오후 10시 이후 야간 자율학습은 방관해 형평성을 놓쳤다는 지적도 받고 있다. 한 교육계 인사는 "교육감이 소신을 앞세우기 이전에 교육계의 다양한 견해에 귀 기울이는 자세가 필요하다"고 꼬집었다.

최병고기자 cbg@msnet.co.kr

window.open("http://www.imaeil.com/sub_news/sub_news_view.php?news_id=30706&yy=2011")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