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사설] 거듭되는 구미 단수사태 정부는 뭐하고 있나

상수도 송수관로에 문제가 생기면서 구미시가 또다시 단수사태를 겪고 있다. 구미광역취수장 임시물막이 붕괴로 수돗물 공급 중단사태가 빚어진지 한달여 만에 또 일이 벌어진 것이다. 손해배상청구 소송까지 진행되고 있는 마당에 다시 물이 끊기자 수자원공사와 구미시에 대한 주민들의 불신이 분노로 바뀌고 있다.

한심한 것은 관리를 맡고 있는 수자원공사가 아직 문제의 원인조차 파악하지 못하고 있다는 점이다. 낙동강을 가로지르며 매설된 관로의 유실 부분을 확인하기 위해 잠수부까지 동원했으나 여태 찾지 못했다. 수자원공사가 관리중인 낙동강 취'송수관로는 모두 5개로 4대강 사업에 따른 준설을 앞두고 3~6m 깊이로 새로 매설했다. 하지만 매설 깊이가 얕아 호우 등의 이유로 관로 일부가 드러나면서 유실됐을 가능성이 크다고 전문가들은 진단하고 있다.

이번 사고로 구미국가산업단지 4단지에 입주한 200여 개의 기업체와 1만6천여 가구는 엎친 데 덮친 격이다. 원인 규명에서 복구까지 최소 2개월이 걸릴 전망이어서 그동안 비상급수차에 의존해야 할 처지다. 5월 단수사태 때 시민들이 안전 점검과 대책 마련을 촉구했음에도 수자원공사가 안이하게 대처하는 바람에 또다시 이런 일이 발생한 것이다. 도대체 언제까지 주민들이 물 때문에 불편을 겪고 기업체들은 조업중단이라는 극약 처방까지 고려해야 하는가.

수자원공사의 무사안일과 엉성한 상수도 관리로 인해 거듭 단수 사태가 벌어지고 있는데도 정부가 아무런 조치를 취하지 않고 있는 것은 국민을 무시하는 일이다. 구미가 기업하기 좋은 도시가 아니라 사고도시로 낙인찍히지 않기 위해서라도 정부 당국과 수자원공사는 책임을 통감해야 한다. 이런 어처구니 없는 사고가 재발하지 않도록 궁극적인 대책을 내놓아야 한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