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원도 평창이 7일 밤 남아프리카공화국 더반의 국제컨벤션센터에서 열린 국제올림픽위원회(IOC) 총회에서 2018년 동계올림픽 개최지로 확정됐다. 평창은 95명의 IOC 위원이 나선 개최지 선정 1차 투표에서 63표를 얻어 각각 25표와 7표에 그친 독일의 뮌헨과 프랑스의 안시 등 경쟁 도시들을 압도적으로 따돌렸다. 전 국민의 성원이 한데 어우러져 거둔 쾌거로 축하하지 않을 수 없다.
평창의 승리는 2전 3기의 도전 끝에 이룬 것이어서 감격의 기쁨이 더 컸다. 2010년 개최지 선정과 2014년 개최지 선정 때 1차 투표에서 앞서고도 2차 결선 투표에서 밀려 캐나다의 밴쿠버와 러시아의 소치에 개최권을 내준 좌절의 아픔을 씻어내리게 됐다. 세 번째 유치 도전을 결정할 때 '무모한 도전' '오기'라는 부정적 시각도 있었으나 이에 굴하지 않고 노력해 마침내 결실을 보았다. 그 집념과 노고에 박수를 보낸다.
평창동계올림픽 유치로 대한민국은 동'하계 올림픽과 월드컵, 세계육상선수권대회의 세계 4대 스포츠 이벤트를 모두 열게 되는 여섯 번째 나라가 됐다. 우리나라에 앞서 프랑스, 독일, 이탈리아, 일본, 러시아만이 해낸 일이다. 우리가 유럽과 북미, 일본에서만 열려 '선진국 클럽'으로 평가받는 동계올림픽 개최권마저 따냄으로써 그 저력을 세계만방에 확인시킨 의미는 매우 크다 할 것이다.
그러나 돌이켜보면 4대 스포츠 이벤트가 모두 환영받았던 것은 아니다. 1988년 서울 올림픽과 2002년 한'일 월드컵이 정부의 강한 주도로 이뤄진 반면 대구가 세계육상선수권대회 유치에 나섰을 때에는 정부가 뒷짐을 져 어려움을 겪었다. 2007년 3월 케냐의 몸바사에서 2011년 대회 개최지가 대구로 확정된 이후 특별지원법이 만들어졌지만 충분한 지원을 받았다고 하긴 힘들다.
평창동계올림픽은 정부의 전폭적인 지원 속에 7년 동안 성공적으로 준비될 것이다. 이제 51일 앞으로 임박한 2011 대구세계육상선수권대회를 성공시키는 과제가 남아 있다. 정부의 온도 차 없는 지원이 대구와 강원도의 도약을 이끌고 대한민국의 국가 브랜드 이미지를 높이는 데에도 기여할 것이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