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대구경북, 실질 경제통합부터 추진을" 김관용 경북지사

"대구와 경북은 합쳐도 인구가 550만 명으로 경기도 인구의 절반에 불과하다. 대구와 경북이 협력하지 않으면 세계시장은 물론 국내서도 뒤처질 수밖에 없다."

김관용 경상북도지사는 "대구경북은 한집안이고 한뿌리였지만 1981년 분리 이후 보이지 않는 벽이 생기고 때론 경쟁도 했다"면서 "하지만 전 세계적으로 자치단체 간 경쟁이 아닌 경제권역 간의 경쟁시대에서 대구경북이 협력하지 않으면 미래가 없다"고 했다.

김 지사는 대구경북이 상생발전을 위해 협력하면서 첨단의료복합단지와 경제자유구역 등 많은 성과도 거뒀지만 부작용도 있었다고 평가했다.

"대구와 경북이 개별 자치단체이고 모두 광역자치단체인 탓에 국책사업 유치에서 잡음이 발생할 때도 있었다. 독자적 행보와 중복투자 등 비효율적이라는 지적도 받아들인다. 최근 신공항과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 유치과정에서 완전히 협력하지 못했다는 지적이 있지만 대구시와는 어느 때보다 합심해서 유치에 힘을 쏟았다고 자평한다."

김 지사는 "대구경북은 현재 경제적으로 유기적인 협력관계를 맺고 있다"면서 "대구경북의 공동발전을 위해 우선 경제통합문제부터 좀 더 실질적으로 추진해 나가야 한다"고 말했다.

김 지사는 이를 위해 눈앞의 현안인 2011 대구세계육상선수권대회와 경주엑스포 등 국제행사부터 힘을 모아 성공시키고 국책사업 유치 등 과제별 협력을 넘어 지역 일자리 창출, 기업 유치에도 공동전선을 펼쳐 실질적인 협력관계를 공고히 하겠다고 밝혔다.

하지만 김 지사는 대구경북 통합은 서둘러서는 안 된다고 조심스러워했다. 그는 현재 추진하고 있는 경제통합을 통해 통합의 영역을 확대해가는 전략이 필요하다고 했다. 유럽연합(EU)도 철강공동체에서 출발해서 경제공동체(EEC)를 거쳐 현재의 정치공동체에 이른 것이라면서 행정통합은 원칙적으로 가야 할 길이라는 데 공감하지만 여러 가지로 민감한 사안으로 쉬운 일이 결코 아니라는 것이다.

김 지사는 "행정통합은 주민투표와 법 개정 등 국민적 공감과 거쳐야 할 절차도 많고 행정체제 개편도 변수"라고 말했다. 또 통합효과와 지역여건을 종합적으로 판단해서 공동발전할 수 있는 제도적 장치를 마련한 후에 통합이 돼야 한다고 덧붙였다.

김 지사는 "지방분권이 먼저 선행돼야 한다"면서 "지방분권이 없는 현재와 같은 자치구조에서 대구경북의 통합은 단순한 산술적 합산에 불과하고 통합의 시너지 효과를 내기가 어렵다"고 주장했다. 재정과 자치권 등 지역의 자주성을 확대하는 지방자치의 틀과 새로운 지방의 시대를 개막하는 제도적 장치가 먼저 만들어져야 한다는 것.

제도적 장치와 함께 대구경북민이 새로운 지방시대를 열겠다는 의지와 자세도 중요하다고 김 지사는 강조했다.

모현철기자 momo@msnet.co.kr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