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사설] 동대구역 환승센터 건설, 대구시의 행정력이 관건

동대구역 환승센터 건설이 어려움을 겪고 있다. 2008년 초부터 사업 구상에 들어가 경제성 문제로 주춤거렸던 이 일대 개발은 지난해 10월 동대구복합환승센터 시범 사업을 공모하면서 본격적으로 시작했다. 지난 3월에는 신세계를 사업 시행 예정자로 선정한 데 이어, 4월에는 대구시와 신세계가 개발 협약을 맺으면서 급물살을 탔다.

이번에 발목을 잡은 것은 연계 도로망 문제다. 그동안 대구시는 복합환승센터와 센터 주차지, 효목삼거리를 잇는 도로망 개설을 두고 코레일 소유의 동대구역 철도 부지를 이용하는 안을 설정했다. 200억 원의 사업비도 신세계가 부담해 기부하는 것으로 정리했다. 그러나 이 안은 대구시의 관련 부서인 교통국과 도시주택국의 입장 차가 큰데다 코레일과 신세계 측의 이해관계가 맞물려 접점을 찾지 못하고 있다.

이번 사태는 대구시의 행정력 부재로 빚어졌다. 대구시는 사업을 추진하면서 관계 부서 간 이견을 제대로 조율하지 못했다. 말로만 떠들었을 뿐 사전 준비를 제대로 못 한 것이다. 국 간 의견 대립으로 코레일과는 협의조차 못 하는 사이에 코레일은 독자적으로 철도 부지 개발에 나서 신세계를 개발 우선 협상자로 선정해, 일이 더욱 꼬였다.

동대구역 일대 개발은 대구시의 오랜 숙원 사업이다. 대구시는 하루빨리 구체 안을 확정해 사업을 예정대로 추진해야 한다. 또한 코레일과 신세계도 대구시의 방침에 협조해야 한다. 동대구역이 중심인 철도는 국가 기간 교통망으로 대구 발전에 큰 역할을 했지만 1980년대 이후 대구가 팽창하면서 오히려 발전의 걸림돌이 됐다. 이런 사정을 고려하면 코레일이 일대 부지에 대해 일방적으로 소유권을 주장하는 것은 옳지 않다. 대구시와 코레일, 신세계 간의 적극적인 문제 해결 노력을 기대한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