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노후 原電, 기어이 재가동…월성1호기 17일부터 운행

시민단체 "수명연장 즉각 중단하라"…주민 불안감 확산

내년 11월 설계수명이 다하는 월성원전 1호기의 이달 17일 가동 재개를 앞두고 노후 원전의 수명연장이 안전성을 담보할 수 없다며 수명연장을 반대하는 목소리가 높다.

경주핵안전연대는 14일 "월성원전 1호기의 재가동은 사실상 수명연장으로 즉각 중단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한국수력원자력(이하 한수원)이 2009년 정비를 위해 멈춰섰던 월성원전 1호기의 발전을 이달 17일부터 재개한다고 밝혀 주민들의 불안감이 높아지고 있기 때문이다.

우리나라 최초의 중수로형 원전인 월성1호기는 지난 1982년 11월 21일 최초 임계일을 시작으로 이듬해 4월 22일 설계수명 30년의 상업운전에 들어갔으며, 내년 11월 20일 운영허가가 만료된다.

한수원은 월성1호기에 대해 운영허가를 3년 6개월여 남겨둔 2009년 4월 1일 발전을 정지한 채 2년 3개월여 동안 압력관 교체와 연료장전, 저출력시험 등 정비작업에 들어갔다. 압력관은 핵분열이 일어나는 곳으로, 천연우라늄 연료와 냉각재인 중수가 들어가는 중수로 원전의 핵심설비다.

한수원은 설계수명이 다하는 월성 1호기의 10년 연장 운전을 위해 2009년 12월 교육과학기술부에 안전성평가보고서를 제출했으며, 원자력 관련 규제기관과 전문가들의 검토를 거쳐 내년 하반기 수명연장 여부를 결정할 방침이다.

주민들과 환경단체들이 월성1호기의 수명연장을 반대하는 주 이유는 일본 원전사고에서 보듯 노후원전에 대한 안전성 우려, 삼중수소 과다배출 등에 따른 캔두형 원자로의 위험성, 수소 제거설비 미비에 따른 안전성 미확보 등이다.

일본 후쿠시마 원전 사고에서 10개의 원전 가운데 1970년대 건설된 1~4호기가 노후 순으로 폭발했고, 1980년대 운전을 시작한 5호기 이후 6개 원전은 폭발하지 않은 점에서 노후 원전의 위험성이 더 부각됐다. 또 캐나다에서 개발한 캔두형 원자로가 수명 연장 사례가 없고, 캐나다조차도 삼중수소 과다배출 안전성 문제로 더 이상 캔두형 원자력발전소를 짓지 않고 있다는 것이다. 게다가 지난 5월 초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KINS)이 발표한 국내원전 안전점검 결과보고서에서도 월성1호기에 수소 제거설비가 없어 전원 공급 없이 작동 가능한 수소 제거설비를 설치해야 할 것으로 지적됐다. 월성1호기가 후쿠시마 원전처럼 전력공급이 끊긴 상황에서 수소 제거를 할 수 있는 설비가 가동되지 않아 최악의 경우 수소폭발을 일으킬 수도 있다는 얘기다.

한수원 측은 이번 발전 재개는 1년여 남은 잔여기간 설계수명을 채우는 것이라고 밝혔지만, 주민들은 수명연장을 위한 수순을 밟고 있다며 불안해하고 있다.

경주지역 20여 개 시민사회단체가 참가하고 있는 경주핵안전연대는 월성원전 1호기의 수명연장 계획 철회를 요구하고 있으며, 2'3'4호기도 설계수명이 다한 뒤 즉각 폐쇄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월성원전이 있는 경주시 양남면 주민들로 구성된 '월성 1호기 수명연장 반대추진위원회'도 최근 월성원전을 방문하고 1호기의 계속운전에 대한 반대입장을 전하고 수명연장 계획 철회를 요구했다.

주민들과 시민환경단체들은 "일본 후쿠시마의 폭발사고가 지진과 해일로 인한 직접적인 원인도 있지만 지난 1970년대 세워진 노후한 원전이 먼저 폭발을 일으킨 '경년열화' 현상"이라며 월성1호기를 비롯한 노후원전의 폐기를 강하게 주장하고 있다.

경주'이채수기자 cslee@msnet.co.kr

서광호기자 kozmo@msnet.co.kr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