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상급식 주민투표함을 열지 못한 한나라당이 책임론을 둘러싸고 내분 양상을 보이고 있다. 오세훈 책임론은 물론이고 당 지도부 책임론, 급기야 박근혜 책임론까지 불거졌다. 편 가르기가 거듭되면서 대통합을 시도하는 야권과는 180도 다른 모습을 보여 한나라당이 당분간 혼돈 속으로 빠져들 것이라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25%를 넘긴 이번 주민투표는 사실상 한나라당의 승리"라고 밝힌 홍준표 대표의 입장과는 달리 여권 내부는 '오세훈의 도박'에 핏대를 세우고 있다. '무상급식이 주민투표까지 할 사안이냐'에서부터 '시장 사퇴 거론이 적절했느냐'까지, 미리 나왔어야 할 후회와 탄식이 거듭되고 있다. 흥분한 측에서는 오 시장의 즉각 사퇴와 더불어 '오세훈 제명론'까지 거론된다. 하지만 오 시장의 사퇴 시기에 따라 보궐선거를 10월에 치르느냐, 내년 4월에 치르느냐의 두 패로 갈리면서 오 시장의 눈치를 보고 있다는 이야기도 들리는 실정이다.
지도부 책임론도 번지면서 7'4 전당대회 이후부터 삐걱거리는 당 최고위원회에도 비판의 화살이 날아든다. 특히 무상급식 오세훈 안에 대해 '당론이냐 아니냐'를 두고 갑론을박 했고, 전격 지원을 선언하면서도 행동으로 보여주지 못했다는 비판이다. 특히 오 시장의 '시장직 사퇴'가 점쳐졌음에도 그에 대책도 마련하지 못했고 향후 보궐선거에 대한 시나리오를 준비하거나 예비 서울시장 후보 물색을 게을리했다는 지적도 제기된다. 서울시장 자리를 야권에 넘겨주면 차기 총선과 대선에 고전을 면치 못할 것인데도 대비가 소홀했다는 이야기다.
문제는 무상급식 투표 개함 불발이 박근혜 전 대표에게도 불똥이 튀고 있다는 것이다. 무상급식에 대해서는 "지자체마다 상황과 형편에 맞게 해야 한다", 주민투표에 대해서는 "제가 말할 입장이 아니다. 서울시민이 알아서 판단할 것"이라는 '2선'의 입장을 견지한 박 전 대표가 '무상급식 거리두기' 입장을 보여 투표장으로 향하는 발길을 늘이지 못했다는 비판이다. 특히 나경원 최고위원은 "박 전 대표와 친박계가 전혀 도와주지 않는다"고 섭섭함을 토로하기도 했다.
일부는 1강 체제를 굳히는 박 전 대표에 맞서 오 시장과 정몽준 전 대표, 김문수 경기지사, 이재오 특임장관 등이 세를 모아 박근혜 흔들기에 나설 가능성도 크다고 예측하고 있다.
서상현기자 subo801@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