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구미 간 첨예한 갈등을 빚고 있는 대구 취수원 구미 이전에 대해 김범일 대구시장이 20일 "취수원 이전 문제로 불필요하게 구미를 자극할 시점이 아니다"며 잠정 논의 중단 의사를 밝혔다. 김 시장은 "총선을 앞두고 다시 이슈화하는 것은 득이 되지 않는다. 국회의원들이 이 문제에 목숨을 걸 것이기 때문"이라 했다.
대구시민들에게 낙동강 물 문제는 절대적인 해결 과제의 하나다. 페놀 사태(1991년) 이후 대구시는 구미, 김천 등의 공단 배출 유해 물질로 낙동강 오염 사고가 잇따르자 안전한 물 공급에 남다른 투자와 노력을 해왔다.
이와 함께 대구시는 취수원 이전을 추진하며 2009년 한나라당에 지원을 요청했고, 안동댐과 구미 상류 쪽 이전 추진이 논의되다 구미의 강한 반발과 올 7월 한국개발연구원(KDI)의 용역 결과, 경제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나면서 난관에 봉착했다.
되돌아보면 취수원 이전 문제를 정치적으로 풀려고 한 것 아니냐는 비판을 받고 있는 대구시로서는 또다시 정치적 장애(총선)를 만나게 된 셈. 이 문제는 낙동강을 공동의 식수원으로 사용하는 구미시와 경북도, 대구시 모두의 관심사가 될 수밖에 없었는데도 대구시가 협의 대상인 구미(주민)와 경북(주민)을 제쳐 두었으니 원만한 추진이 힘든 것은 당연지사였다.
김 시장과 김관용 경상북도지사는 첫 취임(2006년) 후 대구경북 경제 통합에 손을 맞잡았다. 재선(2010년) 뒤 시장은 부산'경남권'호남권과의 공조를, 지사는 대구'부산'경남과의 광역 협력을 약속했다.
두 사람에게는 광역 공조 및 협력 못잖게 물 문제 해결을 위해 먼저 남유진 구미시장, 구미시민들과 소통하는 정치력이 필요하다. 고향이 선산인 지사의 정치 텃밭 역시 구미이다. 세 단체장은 서로 진정성을 갖고 물 문제 해결에 나서야 한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