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구미 간 첨예한 갈등을 빚고 있는 대구 취수원 구미 이전에 대해 김범일 대구시장이 20일 "취수원 이전 문제로 불필요하게 구미를 자극할 시점이 아니다"며 잠정 논의 중단 의사를 밝혔다. 김 시장은 "총선을 앞두고 다시 이슈화하는 것은 득이 되지 않는다. 국회의원들이 이 문제에 목숨을 걸 것이기 때문"이라 했다.
대구시민들에게 낙동강 물 문제는 절대적인 해결 과제의 하나다. 페놀 사태(1991년) 이후 대구시는 구미, 김천 등의 공단 배출 유해 물질로 낙동강 오염 사고가 잇따르자 안전한 물 공급에 남다른 투자와 노력을 해왔다.
이와 함께 대구시는 취수원 이전을 추진하며 2009년 한나라당에 지원을 요청했고, 안동댐과 구미 상류 쪽 이전 추진이 논의되다 구미의 강한 반발과 올 7월 한국개발연구원(KDI)의 용역 결과, 경제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나면서 난관에 봉착했다.
되돌아보면 취수원 이전 문제를 정치적으로 풀려고 한 것 아니냐는 비판을 받고 있는 대구시로서는 또다시 정치적 장애(총선)를 만나게 된 셈. 이 문제는 낙동강을 공동의 식수원으로 사용하는 구미시와 경북도, 대구시 모두의 관심사가 될 수밖에 없었는데도 대구시가 협의 대상인 구미(주민)와 경북(주민)을 제쳐 두었으니 원만한 추진이 힘든 것은 당연지사였다.
김 시장과 김관용 경상북도지사는 첫 취임(2006년) 후 대구경북 경제 통합에 손을 맞잡았다. 재선(2010년) 뒤 시장은 부산'경남권'호남권과의 공조를, 지사는 대구'부산'경남과의 광역 협력을 약속했다.
두 사람에게는 광역 공조 및 협력 못잖게 물 문제 해결을 위해 먼저 남유진 구미시장, 구미시민들과 소통하는 정치력이 필요하다. 고향이 선산인 지사의 정치 텃밭 역시 구미이다. 세 단체장은 서로 진정성을 갖고 물 문제 해결에 나서야 한다.
댓글 많은 뉴스
대통령실, 추미애 '대법원장 사퇴 요구'에 "원칙적 공감"
지방 공항 사업 곳곳서 난관…다시 드리운 '탈원전' 그림자까지
김진태 발언 통제한 李대통령…국힘 "내편 얘기만 듣는 오만·독선"
李대통령 지지율 54.5%…'정치 혼란'에 1.5%p 하락
정동영 "'탈북민' 명칭변경 검토…어감 나빠 탈북민들도 싫어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