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사설] 낙동강을 더럽히는 오염 물질 배출 업체들

4대강 수계 중 대구경북권 낙동강에 오염 물질을 배출하다 적발된 업체가 가장 많은 것으로 드러나 충격을 주고 있다. 낙동강은 1천500만 영남민의 식수원인데도 이처럼 오염 물질을 마구잡이로 배출하는 업체들이 많다는 것은 업체들의 환경 의식이 그만큼 낮다는 방증이다. 이러다 제2, 제3의 낙동강 페놀 사태가 언제 재연될지 모를 상황이다.

대구지방환경청 국정감사 자료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기준 대구환경청 관할 낙동강 주변 환경오염 물질 배출 업체 263곳 중 88곳이 규정 위반으로 단속됐다. 위반율이 무려 33.5%다. 대구환경청 관할 구역을 제외한 낙동강 유역의 적발 비율은 443곳 중 92곳(21.2%)으로 나타나 대구경북권의 오염 물질 배출이 가장 심각했다. 이는 한강 25.7%, 영산강 17.7%, 금강 12.9%에 비해 많게는 두 배가 훨씬 넘어 '낙동강=더러운 물'의 오명을 씌우고 있는 것이다.

이처럼 대구경북권의 적발률이 높은 것은 폐수 처리 시설을 갖추고도 아예 가동하지 않거나 비정상적으로 가동하는 사례가 많아서다. 처리 시설이 고장 나도 방치하는 사례마저 확인되고 있다. 여기에 당국의 느슨한 감독까지 더해 낙동강 오염은 불을 보듯 뻔한 상황이 된 것이다.

1991년 페놀 사태 이후 낙동강'금호강 유역의 크고 작은 오염 사건으로 지자체가 수질 개선에 쏟아부은 돈만 해도 3조 6천억 원에 달한다. 향후 5년간 들어갈 예산도 1조 3천억 원이다. 빠듯한 재정 상황에서 지방정부가 깨끗한 물을 위해 엄청난 예산을 투입하는데도 지역민들이 피부로 느끼지 못하는 것은 이 같은 비양심적인 업체들 때문이다. 그야말로 밑 빠진 독에 물 붓기가 된 것이다. 당국은 더 이상 낙동강 오염을 방치해서는 안 된다. 위반 업체들을 철저히 지도 감독하고 단속의 고삐를 더욱 바짝 당겨야 한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