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삼성·LG "아이폰4S 걱정할 것 없어"

애플이 신제품인 아이폰4S를 공개했다. 예상과 달리 한국이 1차 출시국에 포함되지 않아 삼성을 비롯한 국내업계의 반응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애플은 4일 미국 캘리포니아의 애플 본사에서 기존 아이폰4의 업그레이드 버전인 아이폰4S 출시를 발표했다.

하지만 한국은 1차 출시국에 포함되지 않았다. 아이폰4S는 듀얼코어 A5 CPU를 사용해 CPU 작업속도가 기존 아이폰4보다 2배 빨라졌다. 또한 고속하향패킷접속(HSDPA) 방식으로 최대 다운로드 속도가 14.4Mbps에 이른다. 아이폰4는 다운로드 속도가 7.2Mbps이다.

애플의 신제품 출시에 삼성전자는 앞으로의 경쟁을 걱정할 것이 없다는 입장이다. 삼성전자 관계자는 "애플은 연 1, 2종의 신제품을 내놓고 있지만 삼성전자는 제품의 라인업이 다양하다"고 말했다.

삼성전자는 스마트폰 시장에서 갤럭시S와 갤럭시S2를 비롯해 4G LTE 모델인 갤럭시S2 LTE, 곧 출시될 안드로이드의 레퍼런스(기준)폰 넥서스 프라임 등의 제품으로 애플과 경쟁한다는 전략이다. 한 종류의 모델만으로 승부하는 애플보다 선택의 폭이 넓은 삼성전자가 장기적으로 유리하다는 것.

삼성전자는 새 아이폰과의 대결에서 4G 이동통신 LTE를 지원한다는 점을 부각하고, 제조사로서의 강점인 공급망 관리(SCM)를 이용해 생산라인을 다양화함으로써 승부를 걸 계획이다. 또 삼성전자는 애플이 시행해 성공을 거둔 콘텐츠 서비스도 시간이 지나면 전세가 역전될 것이라고 자신하고 있다.

LG전자 역시 LTE를 통해 아이폰4S와의 차별성을 부각시키겠다는 계획이다. LG전자 관계자는 "LG는 수년 전부터 LTE폰에 힘을 쏟아왔다"며 "특히 특허 주도권을 잡고 있다는 점을 이용해 LTE에서 아이폰에 대항해 승부를 볼 것"이라고 밝혔다.

실제로 최근 한 미국 투자은행은 LG전자의 LTE 관련 특허가 특허 숫자와 가치 면에서 모두 글로벌 업계 1위라고 평가한 바 있다.

한국이 아이폰4S의 1차 출시국에 포함되지 않았지만, 이동통신사도 새 아이폰 공개를 주목하고 있다. KT 관계자는 "향후 아이폰4S를 출시할 때 더욱 빠른 속도를 보일 수 있도록 3G 네트워크를 보완할 것"이라고 밝혔다. 비록 주파수 대역폭이 좁지만 3G 품질을 높임으로써 빠른 속도를 제공하겠다는 것이다. 김봄이기자 bom@msnet.co.kr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