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사설] EBS 교재 오류 막을 근본 대책 세워라

EBS가 또 수능 교재 오류표를 배포했다. 9월 이후에만 세 번째다. 이번에는 오류를 수정한 곳에서 다시 오류가 발견돼 재수정했다. EBS 측은 교재가 112권이고 문항도 2만여 개나 돼 오'탈자 등 잘못된 곳이 많았다고 해명했다. 이와 함께 이달 말 최종 정오표를 홈페이지에 올리겠다고 했다.

수능시험이 20여 일밖에 남지 않았는데도 아직 교재에 오류가 많다는 것은 심각한 문제다. EBS는 여러 차례 공지를 통해 정오표를 배포했으나 실제로 수험생에게까지 알려졌는지는 의문이다. 자칫 오답을 정답으로 알고 공부한 학생이 피해를 볼 가능성도 크다. 더구나 수능을 열흘 앞둔 이달 말에 최종 정오표를 올리겠다는 것은 수험생을 더욱 불안하게 한다.

EBS 교재 문제는 정부가 수능시험의 70%를 연계하겠다고 발표한 지난해 초부터 예견됐다. 교재에 대한 검증 등 제대로 준비하지 않고, 값이 싼 인터넷 강의 보급을 통해 사교육을 줄여보겠다는 발상에서 시작했기 때문이다. 지난해에도 교재 오류 문제가 거론됐지만 연계율이 낮고, 문제가 변형된 형태여서 큰 소란은 없었다. 하지만 올해 초 정부는 철저한 70% 연계를 재확인해 EBS 교재의 중요성이 더욱 높아져 문제가 심각하다.

수능시험의 중요성은 새삼 말할 필요조차 없다. 정부가 정책적으로 특정 교재와의 연계를 결정했다면 이를 철저하게 관리해야 한다. EBS도 마찬가지다. 국회 제출 자료에 따르면 EBS는 지난해 교재 판매에서 330억 원의 수익을 올렸다. 그러나 75%인 247억 원을 수능과 무관한 다른 사업에 사용했다. 단순히 교재와 문항 수가 많음을 탓할 일이 아닌 것이다. 정부와 EBS가 교재의 오류를 막을 수 있는 근본 대책을 세우지 않는다면 수험생의 혼란은 계속될 수밖에 없을 것이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