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여야, 재보선 후폭풍..쇄신방향 놓고 내홍

여야, 재보선 후폭풍..쇄신방향 놓고 내홍

여야 정치권이 10·26 재보선 후폭풍 여파로 내홍을 겪고 있다.

여당은 내년 총·대선 전초전 성격으로 치러진 서울시장 보궐선거 패배, 야당은 호남지역 이외의 기초단체장 선거 전패에 따른 위기감이 커지면서 각각 쇄신책 마련에 나섰으나 쇄신 방향을 놓고 내부 논란이 벌어지고 있다.

한나라당은 '홍준표 체제'를 유지하면서 대대적인 개혁 드라이브를 거는 것으로 가닥을 잡았다.

홍준표 대표는 28일 의원총회에서 "한나라당은 과거 13년간 야당이었고, 민주당과 달리 정권을 창출한 후에도 한나라당 이름 그대로였다"면서 "바꿔서 된다면 당명도 바꿀 수 있다"고 말했다고 황영철 원내대변인이 전했다.

그는 특히 "한나라당은 지난 총선 때 영남권에서 의석을 좀 빼앗기고 수도권에서 100석가량 차지한 수도권 정당이었으나 오히려 지금은 수도권에서 침몰하고 있다"면서 "거기에 대한 처방을 갖고 당을 운영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이는 당 일각의 '지도부 책임론'을 정면 돌파하겠다는 의지로 해석된다.

황우여 원내대표와 남경필 최고위원, 정두언 여의도연구소장 등 다른 지도부 인사들도 일단 자성과 쇄신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특히 한나라당은 이번 보선에서 극도의 취약성을 보인 '2040세대'(20대부터 40대까지)를 끌어들이기 위한 특단의 대책을 강구키로 했다.

그러나 원희룡 최고위원은 이날 본회의장 앞에서 기자들과 만나 "이번 선거는 한나라당의 낡은 정치에 대해 젊은 세대들이 분노와 함께 퇴출 선언을 한 것"이라면서 "당을 해체하고 재구성하는 각오를 가져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이미 정권을 빼앗겼다고 생각하면서 자기 변화의 의지를 보여줘야 한다"면서 "지도부부터 모범을 보여 거취를 결정해야 하며, 자발적 희생이 안 되면 타의에 의해 퇴출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는 사실상 지도부 사퇴를 압박하는 것이어서 향후 전개 상황이 주목된다.

민주당도 한나라당과 마찬가지로 지도부 조기교체보다는 당 쇄신과 야권통합에 당내 논의를 집중하고 있다.

민주당은 통합의 전도사 역할을 해 온 손학규 대표를 중심으로 야권통합 추진기구인 혁신과 통합, 민주노동당, 진보신당, 국민참여당 등과 활발하게 대화하며 통합논의의 주도권을 잡아 나간다는 계획을 세우고 있다.

손 대표는 이날 최고위원회의에서 "서울시장 보선 승리를 기점으로 내년도 총선과 대선 승리, 정권교체의 길로 힘차게 나가야 한다"면서 "이를 위한 야권 통합, 민주당의 자기 혁신의 길을 진지하고 힘있게 나아갈 것"이라고 밝혔다.

그러나 손 대표의 측근으로 통하는 김부겸 의원은 당원에게 보낸 편지에서 "당을 이처럼 무기력하고 절망에 빠뜨려 놓아서는 안된다"면서 "도대체 민주당이 직면한 위기의 실체를 직시하면서 무엇이라도 고치고 바꾸려는 몸부림도, 반성하고 책임지는 비장함도 찾아볼 수 없는 현실이 믿기지 않는다"고 지적했다.

그는 "야권 통합은 국민의 명령이지만 통합을 주장하는 게 또 다른 밥그릇 싸움이나 하고 있는 건 아닌지 돌아봐야 한다. 환골탈태만이 살 길"이라면서 "이제는 당 지도부가 책임져야 한다"며 사실상 지도부 사퇴를 요구했다.

연합뉴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