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나라당의 대권 잠룡들인 정몽준 전 대표와 김문수 경기도지사가 잇따라 '박근혜 대세론'에 제동을 걸고 나섰다. 또한 이들은 친박계가 압도적 우위를 보이는 영남지역 총선 공천의 대대적인 물갈이 필요성을 제기했다.
대선이 1년여 앞으로 다가오면서 박 전 대표를 겨냥한 후발주자들의 본격적인 견제가 시작된 것으로 해석된다.
정 전 대표는 8일 라디오방송에 출연, 당 쇄신 요구에 대해 "대통령과 당 대표만의 문제는 아니며, 나와 박 전 대표를 포함한 모두가 반성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또 "계파 집안싸움만 하 다보니 폐쇄적 조직으로 전락했고 국민이 아닌 당내 권력을 위해 일하는 조직으로 비친 것"이라며 "당내 계파가 없어져야 쇄신'변화가 가능하고, 중요한 것은 공천 혁명인데 이 역시 계파가 없어져야 가능하다"고 말했다.
그는 특히 김 지사의 '박근혜 대세론의 위험' 언급에 대해 "상식적인 문제"라며 "168명의 의원이 있는 집권 여당에서 (대권) 후보가 1명밖에 없다면 국민 선택을 제한하는 것"이라며 동조했다.
정 전 대표는 또 내년 총선 공천을 통한 물갈이론에 대해 "4년에 한 번 하는 인사이므로 가능한 한 최대한 많이 바뀌는 게 좋다"고 밝혔다.
김 지사는 앞서 7일 서울 프레스센터에서 열린 한 포럼의 기조연설을 통해 "지금처럼 '대세론' 운운하며 단수 후보 체제를 오랫동안 유지하는 것은 변화무쌍한 현 정세에서는 매우 위험하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이회창 단수 후보로 안이하게 대처하다 두 번이나 뜻하지 않게 패했다"며 "내년 대선을 대비해 복수의 대안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김 지사는 아울러 인적 쇄신과 관련, "서울 강남, 영남 지역에서 50% 이상 물갈이하고 비례대표는 100% 바꿔야 한다"며 '나는 가수다'식 경선과 투표, 온라인 후보추천을 제안했다. 당 안팎의 인사가 절반씩 참여하는 '비상국민회의'를 통한 총'대선 전략 수립도 주장했다.
그는 청와대를 향해선 "대통령과 청와대의 시국 인식이 너무 안이하지 않은가 걱정된다. (대통령이) 야당 의원과 비판적인 언론, 종교인, 젊은이들을 광범하고 빈번하게 만나서 경청해야 한다"고 쓴소리를 했다. '당 쇄신이 안 되면 신당으로 가는 것이냐'는 질문에는 "이미 신당 창당 움직임이 시작됐다. 조만간 가시화될 것"이라고 밝혔지만 신당 합류 의향을 묻는 질문에는 "저는 한나라당 당원"이라고만 답했다.
이상헌기자 davai@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