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은 1955년에 태어난 '베이비부머' 첫 세대가 55세 정년을 맞아 은퇴한 첫해였다. '1차 베이비붐 세대'(1955∼63년생)는 728만여 명으로 우리나라 전체 인구의 14.9%를 차지하고 있다. 앞으로 7, 8년 동안 이들 중 약 40%에 해당하는 임금근로자가 직장에서 줄줄이 은퇴할 전망이다. 우리나라 경제 성장의 중추적 역할을 담당했던 이들 베이비부머의 은퇴는 사회'경제적으로 큰 충격을 가져올 것으로 보인다.
가장 큰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는 것은 노후 생활을 위한 대비가 전혀 이루어져 있지 않다는 점이다.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이 올 3월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베이비부머의 31.4%가 노후생활 안정을 위한 최소한 수입을 얻지 못해 기대치에 미치지 못하는 노후생활을 할 가능성이 높다고 분석했다.
노후에 필요한 수입은 월 평균 200만원 안팎인데 베이비부머의 26.1%는 확보 가능한 수입이 100만원 미만이었다. 국민연금 등 공적연금에 가입하지 않은 베이비부머가 13.7%, 개인연금에 가입하지 않은 비율은 48.1%로 절반에 육박했다. 또 이들 세대가 보유한 자산을 살펴보면 부동산이 75%를 점하고 있어 생활자금이 필요한 은퇴자에게 적합하지 않다는 문제점도 안고 있다.
이처럼 현금성 자산 비중이 낮고 일정한 소득이 없는 노령층이 노후생활에 대비할 수 있는 현실적 방안은 주택연금이다. 주택연금은 주택을 담보로 한 장기대출의 한 형태로 시간이 흐를수록 대출 금액이 늘어나며 주택을 처분해 원리금을 일괄 상환하는 방식이다. 부동산을 담보로 장기주택자금을 대출받는 모기지론과 자금 흐름이 반대이기 때문에 '역모기지론'으로 불리기도 한다.
주택연금을 통해 매달 받을 수 있는 금액은 주택의 가격과 가입 시기에 따라 달라진다. 올해 60세로 3억원짜리 집을 가진 사람이 신청하면 매달 70만원을 받을 수 있다. 3억원짜리 집으로 65세에 가입하면 매달 86만원, 70세에 가입하면 106만원을 받을 수 있다. 주택연금 가입요건은 주택 소유자와 배우자의 나이가 연금 신청일 현재 만 60세 이상인 자로서, 주택을 1채만 소유하고 직접 거주하고 있어야 한다.
주택연금의 혜택을 받을 수 있는 대상은 주택법상 주택으로 분류된 단독주·'다세대주택·연립주택·아파트 등이며 오피스텔이나 상가주택·상가·영업시설 등은 주택연금 대상에서 제외된다. 자세한 자격내용 등은 주택금융공사 홈페이지(http://www.hf.go.kr)를 참조하면 된다.
주택연금에 가입할 때 유의할 점은 이 상품이 은퇴자들을 위한 '장기 가입 상품'이라는 점이다. 장기간의 가입기간을 전제로 설계되었기 때문에 5년 혹은 10년 안에 주택연금을 해지할 경우 주택담보대출(모기지론)보다 경제적인 면에서 불리해질 수 있다. 이는 주택가격의 2%인 초기 보증료와 대출금의 연 0.5%인 연보증료 등이 더해지기 때문에 금리'제비용 등을 종합적으로 감안할 경우 은행의 주택담보대출 상품을 이용하는 것이 더 나을 수 있다는 것이다.
올 10월까지 총 2천343명이 주택연금에 신규로 가입해 지난해 같은 기간(1천614명)보다 45% 증가했다. 하루 평균 가입자 수도 지난해 7.8명에서 올해 11.4명으로 46% 증가하는 등 주택연금의 가입자 수가 크게 늘고 있는 점을 고려해 보면 노후 재테크 수단으로 주택연금은 더욱 활성화될 전망이다.
정리·이경달기자
도움말·조영철 농협중앙회 대구PB센터 팀장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