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협상이 타결된 기업의 평균 임금 인상률이 5년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21일 한국경영자총협회가 전국의 100인 이상 사업장 764곳을 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올해 임금 협상이 타결된 기업의 평균 인상률은 지난해보다 0.2% 포인트 증가한 5.4%로 나타났다. 이는 2007년(5.1%) 이후 가장 높은 인상률이다.
사업장 규모로 보면 1천 명 이상인 곳이 5.5%로 인상률이 가장 높았으며 100∼299명(5.3%), 300∼499명(5.1%), 500∼900명(4.7%) 순이었다. 산업별로는 도'소매업이 5.7%로 가장 높았다.
임금 분석을 보면 4년제 대졸 사원의 입사 첫해 한 달 평균 월급은 242만2천원이었다. 1천 명 이상이 근무하는 대기업의 평균 초임은 271만6천원으로 100∼299명이 근무하는 중소기업보다 59만원이 높았고 업종별로도 금융 및 보험업이 292만9천원으로 건설업보다 56만8천원 많은 것으로 나타나는 등 임금 격차가 상당했다.
또 연봉제를 도입한 기업이 그렇지 않은 기업보다 직급별로 임금이 6∼10.5% 더 높았다.
경총은 연봉제가 임금 수준이 높은 대기업을 중심으로 우선 시행되는 경향이 있고 도입 당시 임금수준 하락 등 근로기준법상 '불이익 변경'이 발생하지 않도록 임금 인상이 다소 높게 이뤄졌기 때문으로 분석했다.
노경석기자 nks@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野, '피고인 대통령 당선 시 재판 중지' 법 개정 추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