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해안 도루묵이 제철을 맞았다. 비늘이 없는 도루묵은 고단백이면서도 아주 담백한 맛이 나는데 쫀득하게 씹히는 알과 입 안에서 녹는 부드러운 맛이 일품이다. 특히 알이 가득 들어차는 11~12월 초가 가장 맛이 좋다. 무와 감자를 밑에 깔고 도루묵을 넣어 갖은 양념으로 끓이는 도루묵찌개, 굵은 소금을 치거나 양념장을 발라 굽는 도루묵구이가 인기가 많은데 특히 통통하게 알이 밴 도루묵을 석쇠에 올려놓고 '톡톡' 알 터지는 소리를 음미하며 먹는 노릇한 도루묵 소금구이도 별미다.
우리는 흔히 애쓰던 일이 수포로 돌아가 헛고생을 했을 때 '말짱 도루묵'이란 말을 쓴다. 도루묵은 원래 '묵' 또는 '목어'라고 불리던 생선이었는데 조선시대 선조가 함경도로 피란을 갔을 때 이 물고기를 먹어보고 맛이 너무 좋아 '은어'(銀魚)라는 이름을 하사했다. 그러나 전쟁이 끝난 뒤 다시 서울로 돌아온 선조가 피란 때 먹은 은어의 맛을 잊지 못해 다시 청했으나 그 맛이 예전과 달라 '도로 묵이라 하라'고 해서 '도루묵'이 됐다는 이야기가 있다. 사실 이 설화는 '믿거나 말거다'다. 정작 조선시대 정사에는 선조가 함경도로 피란 간 기록이 없다고 하니 정말 '말짱 도루묵' 같은 이야기일 뿐이다. 어쨌든 후세에 볼품없고 형편없음을 의미하는 관용어가 되어버린 '도루묵'. 하지만 도루묵이 결코 맛이 없거나 흔한 생선이 아니라는 사실은 먹어본 사람만이 알 수 있다.
◆도루묵찌개
▷재료: 도루묵 500g, 무 200g, 대파 1/2대, 풋고추 1개
▷양념장: 고춧가루 1큰술, 고운 고춧가루 1/2큰술, 국간장 1큰술, 액젓 1작은술, 고추장 1/2작은술, 다진마늘 1큰술, 술 1큰술, 후추 약간, 맛국물 2, 3큰술
▷맛국물: 물 6컵, 다시마 1장, 멸치 10g, 양파, 파
▷만들기
1. 도루묵은 지느러미, 꼬리를 잘라내고 깨끗이 씻는다.
2. 무는 나박 썰고, 고추는 어슷썬다.
3. 맛국물 재료를 다 넣고 15분간 끓여 맛국물을 만든다.
4. 냄비에 육수 500㏄, 무를 넣고 끓으면 양념장을 1/2을 넣는다.
5. 도루묵과 함께 남은 양념장을 모두 넣어 끓이다가 간을 확인한다. 이때 알이 잘 안 익으므로 충분히 끓이는 것이 좋으며, 국간장이나 소금으로 모자라는 간을 한다.
6. 고추, 파를 넣고 잠시 끓여 불을 끈다.
한윤조기자 cgdream@msnet.co.kr
도움말'김다미 요리전문가(대백프라자 문화센터)
댓글 많은 뉴스
대통령실, 추미애 '대법원장 사퇴 요구'에 "원칙적 공감"
지방 공항 사업 곳곳서 난관…다시 드리운 '탈원전' 그림자까지
김진태 발언 통제한 李대통령…국힘 "내편 얘기만 듣는 오만·독선"
李대통령 지지율 54.5%…'정치 혼란'에 1.5%p 하락
"차문 닫다 운전석 총기 격발 정황"... 해병대 사망 사고 원인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