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대학생 고금리 대출 저금리로 환승 추진

대학생 고금리 대출 저금리로 환승 추진

대학생들이 저축은행이나 대부업체 등에서 빌린 고금리 대출을 저금리로 갈아타게 해 주는 방안이 추진될 전망이다.

권혁세 금융감독원장은 28일 이화여대에서 열린 '금융인과 함께하는 캠퍼스 금융토크' 행사에 참석해 기자들과 만나 "이미 4천500억원에 달하는 대학생의 고금리 대출을 놔두면 신용불량자가 될 수 있다"며 금융회사들이 사회공헌기금으로 저금리 환승론을 제공하도록 독려하겠다고 밝혔다.

권 원장은 200억원을 조성한 생명보험업계의 사회공헌기금을 언급하면서 "필요하면 은행 등이 조성한 사회공헌기금을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은행 등) 상업적 영역에서 대학생 전용 저금리 대출상품을 개발할 수 있는지 여러모로 검토했는데 어렵더라"며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신규 고금리 대출을 어렵게 하고, 학자금 대출은 정부에서 도움을 받는 게 바람직하다"고 말했다.

권 원장은 금융권에서 대학생을 위해 일자리를 많이 늘리는 것도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는 "금융회사와 금융공기업이 일자리를 많이 늘려야 한다"며 "금감원도 직원을 올해 50명 뽑았는데, 100명이라도 더 뽑고 싶은 심정"이라고 말했다. 인건비 부담보다 감독·검사 인력을 확충해 얻는 효과가 더 크다는 점을 이유로 들었다.

그는 "저축은행이나 대부업체의 고금리 대출을 이용하다가 연체하면 자칫 개인신용등급이 떨어지는 결과를 초래한다"며 "일상생활에서도 지나친 소비를 억제하고 계좌잔액 범위에서만 쓸 수 있는 체크카드를 사용하는 게 바람직하다"고 당부했다.

"최근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휴대폰 대출사기'나 아르바이트 채용을 명목으로 한 대출사기 등 피해사례가 나타나고 있다"며 돈이 궁한 나머지 대출사기에 노출되지 않도록 주의해달라고도 했다.

이날 행사엔 손병옥 푸르덴셜생명보험 사장, 이재경 삼성증권[016360] 상무, 김지현 신한은행 행원 등 이대 출신 금융인과 재학생 300여명이 참석해 경제·금융 현안과 대학생의 금융권 취업 등을 주제로 이야기를 주고받았다.

학생들은 "버핏세 도입을 어떻게 생각하느냐", "한미 자유무역협정(FTA)이 금융산업에 어떤 영향을 주느냐"는 날카로운 질문도 서슴지 않았다.

권 원장은 "국내 금융시장은 이미 많이 개방돼 한미 FTA의 영향이 별로 없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버핏세와 관련해서는 "고소득자와 대기업에 높은 세율을 매기는 데 대해서는 논란이 있지만, 세금을 담당하는 정치권과 기획재정부에서 고민해야 할 문제다"고 답했다.

연합뉴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