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홍준표 체제' 이어질까, 끊어질까

쇄신파 지도부 교체 요구 대안 부재 반론도 만만찮아

한나라당에 불어닥친 쇄신풍이 홍준표 대표의 거취에도 영향을 미칠 전망이다. 당내 쇄신파 일각에서는 한나라당의 '리모델링'을 위해 현재의 홍준표 대표 체제의 교체가 불가피하다는 주장이 나오고 있다. 더 나아가 환골탈태의 혁신을 주장한다. 이 경우 홍 대표 체제는 자동 중단되는 것이다.

10'26 서울시장 재보선 참패 직후 '지도부 총사퇴'를 주장한 원희룡 최고위원은 "기본 입장을 유지할 것"이라고 밝혔고, 쇄신파 핵심인 정두언 의원은 "모든 쇄신은 홍준표 체제가 막을 내린 다음에 가능한 얘기"라며 원 최고위원의 주장에 가세한 상태다.

일각에서는 '현 지도부의 퇴진 → 비대위 체제의 출범 → 중도보수를 아우르는 통합 전당대회' 등의 시나리오까지 제기되는 등 진도가 너무 빠르다는 느낌마저 주고 있다.

따라서 29일 오후 열리는 쇄신을 위한 한나라당 '끝장' 연찬회는 그동안 대안 부재를 이유로 사실상 '연명'해 온 현 지도부에 대한 신임'불신임의 장이 될 수도 있다.

다만 당내 쇄신바람이 '홍준표 체제'를 정조준하기는 힘들 것이라는 관측도 적지 않다. 홍 대표 외에 뚜렷한 대안이 없는 상황인데다 지도부 교체론이 동력을 받기 쉽지 않은 환경이기 때문이다. 대표 교체가 되려면 박근혜 전 대표의 '재가' 내지 '동의'가 있어야 하는데 박 전 대표는 미동도 없다. 또한 한미 FTA 처리 과정에서 보여준 홍 대표의 리더십도 일정 부분 평가를 받아야 한다는 주장도 있다.

쇄신파 내에서도 지도체제 문제에 대해 단일한 입장이 없고 정책쇄신 등에 있어 전략적 연대를 해온 친박(친박근혜)계가 '홍준표 체제' 자체를 흔드는 데 대체로 부정적이다.

원 최고위원으로부터 동반 사퇴를 요청 받아온 유승민 최고위원은 '쇄신 논의를 지켜볼 것'이라는 기존 입장을 되풀이 했고, 다른 친박계 의원들은 "대안부재론 때문에 이미 끝난 얘기 아니냐"는 반응이 나오는 것도 이런 이유에서다.

당내 일각에서는 오히려 지도부 교체론을 내세운 쇄신파가 역공에 처할 수도 있다는 지적도 있다.

'홍준표 체제 교체론' 자체가 이미 실기한 측면이 크고, 지도부에 책임을 떠넘기기에 쇄신파가 보여준 희생과 헌신의 모습이 적었다는 지적도 있기 때문이다. 당권파 외에도 친이(친이명박)계인 장제원 의원은 트위터를 통해 "사퇴 요구 금단 증상"이라며 "누가 무슨 정통성으로 비대위를 구성하느냐? '물러나라'가 아니라 '책임지라'고 외치는 연찬회가 됐으면 한다"고 밝혔다.

유광준기자 june@msnet.co.kr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