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마(胡馬)는 북풍에 울고 월나라 새는 남쪽 가지에만 앉는다는 옛님들의 말을 인용할 것도 없이 무릇 생명이 있는 것은 귀소본능이 있을 것이다.
나의 고향은 대구에서 백여리 되는 성주 서쪽 지방인 금수면 후곡리 또는 후리실이란 산골마을인데 산악지대이면서도 비교적 기온이 낮은 고원지대여서 저 유명한 성주 특산물인 참외 농사도 짓지 못하는 그야말로 가난한 고장이다. 한순간도 나는 고향을 잊은 적이 없다.
그러나 후곡리에서 서쪽으로 오 리쯤 되는 곳에 대가천이란 낙동강 지류 한 줄기가 김천의 수도산에서 고령군 우곡면 낙동강 본류까지 백여리를 남북으로 흐르고 있는데 대가천은 산자수명(山紫水明) 별유천지다.
절대주는 우리 고장 사람에게 척박한 산야를 준 대신에 수려한 개천 하나를 보상해 주었는지도 모른다. 인걸은 지령(人傑地靈)이라 했던가, 대가천이 수려했기에 대가천 변엔 큰 인물이 많이 태어났던가 보다.
대가천 중류에 자리 잡은 갈말은 퇴계와 남명 조식의 수제자이기도 한 한강(寒岡) 정구라는 대성리학자의 출생지이고, 우리나라 최초의 시조 시인인 이조년 선생의 묘소도 고령군 운수면 대가천 근처에 있으나 그분도 대가천과 가까운 우리 성주군에서 출생했다.
호마는 북풍만 불면 울부짖고 월나라 새는 남쪽 가지에만 옮겨 앉듯이 사람인 나도 그들 짐승들과 같이 고향 그리는 본능은 똑같은 탓인지 고향을 떠나온 지 사십여 년이 넘어도 한순간도 고향 산하를 잊은 적이 없다.
그런 탓이었을까. 동서고금을 통해서 하늘의 별처럼 수없이 많고 많은 시며 시조며, 주옥같은 문장들이 있어도 인생의 노경에 접어든 이 순간까지도 이조년 선생의 다정가(多情歌)와 한강 선생의 한시 한 편을 이 세상 어떤 문장보다 좋아하고 애독하고 애송을 한다.
두 분의 출생지가 대가천과 가까운 나의 고향이어서인지는 몰라도 나는 두 분의 글을 어떤 문장보다도 좋아하고 그래서 매일 한두 번씩 써보기도 하고 암송을 하거나 신나게 소리 내어 읊기도 한다.
이것이 나의 일생동안 습관이 되기도 했다.
그런데 운명적인 나의 혈연 때문에 두 선생의 작품보다 몇 배 더 나의 영혼을 울리고 그것 때문에 내 눈에서 피눈물을 흘리게 하는 신생 토속 민요 하나가 있다. 그것은 이름 없는 내 고향의 첩첩산중에서 핀 산유화 두 송이가 죽을 때까지 부르다가 저 세상에 가서도 부를지도 모를 한 맺힌 두 무명초의 애간장을 녹이는 무명의 민요이다.
나에게는 누나가 다섯이 있었는데 8'15 해방 전후로 전염병이나 다른 불치의 병으로 시집가서 또는 혼전에 다 죽고 이제 80세가 된 막내 누나 하나만 남았다. 다섯 누나 중 셋째 누나는 얼굴도 미인이었고 노래도 잘 불렀고 춤도 잘 추었고 공부도 잘했으며, 언제나 상글상글 웃기만 했다.
그 누나는 8'15 해방이 되기 1년 전에 소학교 교사와 결혼했다. 셋째 누나의 부부는 금슬이 깨가 쏟아질 듯이 좋았다. 그러나 해방되던 이듬해 자형이 장티푸스에 걸려서 죽었다. 처음에는 누나가 그 병에 걸렸는데 자형이 필사적으로 누나를 간호한 탓인지 누나는 건강을 회복했다. 그러나 자형이 전염되어 그만 죽고 만 것이다. 그때부터 셋째 누나는 본 정신이 아닌 여인으로 변했다. 거의 미친 사람 같았다.
자형이 죽은 후 누나는 우리 집에 있었다.
누나는 우리 집의 뒷동산에 올라가서 자형의 무덤이 있는 동쪽(성주읍 근처에 자형 무덤이 있음)을 향해서 망부석처럼 서 있기만 했다. 부모님이 누나에게 재혼을 하라 해도 꿈에도 재혼할 뜻이 없다고 했다.
셋째 누나의 나이가 24세, 내 나이가 13세 때이던 이른 봄 아침이었다. 그날도 누나는 뒷동산에서 동쪽 하늘만 쳐다보고 있었다. 그때 내가 누나 곁에 가서 '누나야 천날 만날 이러고만 있지 말고 엄마 말대로 다른 데로 개가하란 말이야' 하고 나는 어린아이답지 않게 말했다. 그때 누나는 아무 말도 않고 나를 힘껏 부둥켜안더니 노래 하나를 부르는 게 아닌가.
'장들 땅의 벗 나비야 일본 땅이 얼마나 좋아.
챙기 땅의 꽃을 두고 현해탄을 건너더니
조선천지가 해방이 되어도 불귀의 객이 웬 말이냐.'
대가천 변의 상류에는 '장들'이란 마을이 있고, 그 마을 아래로 이십리를 내려가면 '챙기'라는 마을이 있다. 태평양 전쟁이 치열할 때 '장들마을' 총각과 '챙기마을' 처녀가 혼인을 했는데 신혼의 단꿈을 깨기도 전에 신랑이 징용에 끌려가서 해방이 되어도 돌아오지 않았다.
그때 챙기 땅의 신부는 꼭 나의 셋째 누나처럼 챙기 마을 뒷산에서 일본 땅이 있는 동쪽 하늘만 바라보고 있었다. 그 색시는 거의 미친 사람처럼 동쪽 하늘만 바라보다가 자작으로 즉흥 노래 하나를 만들어서 불렀다고 한다. 그 노래가 바로 '장들 땅의 벗 나비야…'로 시작하는 노래였다.
얼마 후 그 색시는 자살했는지 어찌 되었는지는 알 수 없으나 그의 부모들과 챙기 땅에서 흔적도 없이 없어졌는데, 그때부터 성주 서부 지방에서는 그 노래가 불린 것이다. 이 노래는 당시 나의 부모님과 후리실 사람들도 알고 있었다.
그날 아침 누나의 그 노래를 들었던 나는 섬뜩했다. 풍문에 챙기 땅의 그 색시가 대가천 어느 소(沼)에 투신자살했다는 말이 떠돌았기 때문이다.
누나는 그 노래를 끝내더니 나에게 부탁 하나를 했다. 누나는 챙기 땅의 그 색시의 마음을 알고도 남겠다면서 내가 크게 되거든 챙기 땅의 색시를 위한 노래비 하나를 세워주라는 것이다. 그 말이 꼭 누나의 유언 같기도 하고 누나도 그 색시처럼 죽을 수밖에 없다는 뜻 같기도 했다.
나는 그만 울음을 터뜨리면서 "누나야 제발 죽지 마라. 누나가 죽으면 나도 따라 죽을 거야"하고는 누나의 가슴을 마구 두드렸다.
우리 남매가 뒷동산에서 부둥켜안고 울었던 그날이 마지막 날이 될 줄이야. 3일 후에 누나는 자살을 하고 말았다.
누나의 병을 필사적으로 간호하다가 죽은 자형을 생각하면 재혼을 할 수 없다는 것과 그렇다고 그대로 살기에는 죽은 자형이 그리워서 견딜 수 없다는 유서를 남기고 저세상으로 간 것이다. 요조숙녀였고 절세가인이었던 나의 셋째 누나는 이렇게 한 많은 24세의 생을 마감한 것이다.
누나가 죽은 지 60여 년이 된다. 나도 이제 지난 날보다 앞날이 많지 않기에 그 옛날 고향 땅 뒷동산에 올라가서 누나가 나에게 부탁했던 것을 꼭 들어주고 싶은 마음이 간절하다. 노래비를 세우려니 챙기 땅의 그 색시 이름이나 혈친이라도 알아야 되는데 나는 백방으로 수소문해도 아는 사람이 없다.
나는 장들, 챙기 마을을 답사하고 그 마을에서 출향한 사람들에게 전화로 탐문했지만 허사였다. 너무나 안타까워서 성주군 행정기관에 의뢰해서 찾았지만 전혀 찾을 수가 없다. 최후의 수단으로 어느 드라마 작가를 찾아가서 이 이야기를 TV 드라마로 만들자고 해서 거의 합의가 되었다가 어떤 사정 때문에 보류 중이기도 하다.
나는 지금도 성주군의 자연부락을 찾아다니면서 이 노래 주인공을 아느냐 또는 '장기 챙기' 노래를 아느냐고 물어보곤 한다.
이제 나이 많은 사람들은 대부분 고인이 되었기에 이 사연 이 노래를 아는 사람은 점점 없어지고 말 것이다. 이 노래를 어려서부터 아는 사람은 후리실 마을의 한개댁(이호분 할머니)과 조희택 씨 부부 그리고 금수면 후평리 말미 마을에 살았던 김경자 씨, 챙기 마을에서 대구로 시집간 아주머니 한 분뿐이다.
그래도 나는 단념하지 않고 성주 사람들만 만나면 '장들 챙기' 노래 아느냐, 이 노래 부르다가 죽은 여인의 친척이라도 아느냐고 묻는 게 습관이 되어 있다. 사람들은 나를 어느 영화 속의 이별한 여인을 찾아서 '누가 이 사람을 아느냐'고 애타게 찾는 북한 인민군 장교 같다고 한다.
나는 무어라 해도 셋째 누나의 유언이기도 한 이 일을 꼭 해내리라. 내가 죽을 때까지 내 영혼을 울리는 문장이 있다면 '장들 챙기…' 노래의 가사다. 내가 그처럼 좋아하던 이조년 선생의 다정가와 한강 정구 선생이 한시(漢詩) 한 편은 후순이다.
배철 (수필가 '드라마 작가'소설가)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홍준표, 정계은퇴 후 탈당까지…"정치 안한다, 내 역할 없어"
세 번째 대권 도전마저…홍준표 정계 은퇴 선언, 향후 행보는?
[매일문예광장] (詩) 그가 출장에서 돌아오는 날 / 박숙이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