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사설] 영덕·삼척 신규 원전, 안전이 최우선이다

신규 원전 건설 후보지로 경북 영덕과 강원 삼척이 사실상 결정됐다. 최종 부지 확정과 2018년 착공 등 진행이 순조로울 경우 140만㎾급 각 4기씩 총 8기의 신규 원자력발전소가 2024년부터 운영에 들어갈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이런 기대와는 달리 안전성에 대한 의문이 높아지면서 원전에 대한 우려 또한 갈수록 커지고 있는 것도 사실이다.

새 원전 후보지 결정은 당초 올 2분기에 이뤄질 계획이었다. 하지만 일본 후쿠시마 원전 사고의 여파로 원전 건설을 반대하는 여론이 높아지면서 한참 늦춰졌다. 원전의 안전성에 대한 국민 인식이 달라지고 최악의 경우 핵 재앙이 될 수도 있다는 심각한 의문이 제기된 것이다. 경제성을 기반으로 한 안정적인 에너지원인 동시에 가공할 핵 사고라는 측면에서 원전은 동전의 양면이 된 것이다.

정부는 안정적인 전력 공급과 에너지 안보라는 측면에서 원전 건설이 불가피하다는 점을 강조하고 있다. 하지만 시민과 환경단체의 생각은 다르다. 일본 후쿠시마 원전 사고 이후 전 세계적으로 원전의 위험성이 부각되고 경제성에 의문이 제기돼 원전 의존도를 줄이고 있는 추세인데도 정부가 원전 확대 정책을 고수하는 것은 시대를 거스르는 정책이라는 것이다. 게다가 삼척의 경우 주민 찬성률이 절반에도 미치지 못했다는 것은 원전 건설이 지역경제에 별 도움이 안 된다는 인식이 커지고 있음을 말해준다.

원전 건설이 정부의 주장대로 경제성과 안정적 전력 공급 등 순기능만 있다면 굳이 반대할 이유가 없다. 그러나 크고 작은 원전 사고가 어떤 결과를 초래했는지를 상기한다면 역기능을 우려하는 목소리에도 귀를 기울여야 한다. 작은 실수가 핵 재앙이 되지 않도록 정부는 무엇보다 안전에 만전을 기하고 에너지 정책의 다변화도 적극 검토해 나가야 한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