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태 떠난 한국 바다 멸치·오징어 점령
온난화 등 영향으로 한반도 주변 해역을 멸치나 오징어와 같은 난류성 어종이 점령한 것으로 나타났다.
1980년대에 흔하게 볼 수 있었던 명태나 쥐치는 거의 사라지고 청새치, 제비활치류 등 아열대 어종이 자주 출몰하는 것도 우리 바다의 달라진 현상이다.
8일 국립수산과학원의 자료를 보면 2000년대 고등어와 멸치, 오징어 등 세 종의 어획 비율이 우리나라 전체 연근해 어획량의 52.1%를 차지했다.
세 어종의 어획비율은 1970년대 22.3%, 1980년대 20.8%에 불과했다. 1990년대에 40.5%로 뛰어올랐고 2000년대는 절반을 넘어선 것이다.
이들 어종을 포함해 꽁치, 농어, 방어, 삼치, 숭어, 전갱이, 정어리 등 난류성 표층어류 10개 종의 어획량 비중은 60%에 육박했다. 표층어류는 해양 상층에 살며 먹이 찾기나 번식을 위해 널리 회유하는 어류다.
10개 어종의 어획비율은 1970년대 28.0%에서 1980년대 32.5%, 1990년대 47.1%, 2000년대 59.2%로 증가했다.
대표적 한류성 어종인 명태와 쥐치는 거의 자취를 감췄다.
1980년대 동해에서 가장 잘 잡히는 물고기 중 하나였던 명태는 2009년, 2010년 연간 어획량이 1t으로 관련 통계를 집계한 1926년 이후 최저였다. 20년 전인 1980년 9만6천t보다 거의 100% 줄어든 것이다.
1980년대 남해에서 어획량이 가장 많았던 쥐치도 2010년에 연간 3천500t에 불과했다. 1980년 22만9천t보다 98.5% 급감했다.
바닷속 어종의 변화는 수온과 관련이 깊다.
최근 41년간 우리나라 주변 해역의 평균 표면 수온은 섭씨 1.31도 상승했다.
동해는 1.39도, 남해 1,29도, 서해 1.24도 올랐다. 계절별로는 여름철 0.77도, 겨울철 1.41도 올랐다.
수온 변화로 난류성 어종의 어장이 확대되고 외래 어류도 눈에 띄게 늘었다.
오징어 채낚기 어업의 어장은 점차 서해로 확장됐다. 우리나라 전 해역에서 오징어를 잡을 수 있게 된 것이다.
제주의 특산종으로 알려진 자리돔은 독도 부근 해역에서 관찰되고 역시 제주의 특산종인 오분자기도 남해안에서 채취됐다.
청새치와 제비활치류, 보라문어, 흑새치, 고래상어, 구실우럭, 구갈돔, 노랑벤자리, 꼬리줄나비고기, 긴가라지, 꺼끌복과 같은 아열대성 어종도 자주 발견된다.
온난화 등으로 한반도 주변 해역의 수온이 올라 난류성 어종이 많아진 것으로 풀이된다.
국립수산과학원 강수경 박사는 "난류성 어종인 갈치의 어획량이 급감했다는 점에서 모든 어종의 증감을 기후로만 설명하긴 어렵다. 어장환경과 바닷속 자원 절대량 변화, 산란기 바다의 위생상태 등이 어종 변화에 복합적으로 영향을 미쳤다"고 설명했다.
연합뉴스
댓글 많은 뉴스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