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유와 휘발유 등 액체 연료에서 유해한 황(黃) 성분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소재가 국내 연구진에 의해 개발됐다.
경북대 정성화 교수가 주도하고 방글라데시 출신의 나쯔물 아베딘 칸 박사과정생이 제1 저자로 참여한 이번 연구는 교육과학기술부와 한국연구재단이 추진하는 '중견연구자지원사업'의 지원을 받아 수행됐다. 연구결과는 화학분야의 권위 있는 학술지인 '앙게반테 케미 국제판'(Angewandte Chemie International Edition)의 1월 27일자 속표지 논문으로 게재됐다. 정 교수 팀은 저렴하면서도 흡착력이 가장 높은 기존 소재에 비해 1.2배 뛰어난 황 제거 소재를 개발하는 데 성공했다. 경유와 휘발유 등 연료에 존재하는 황 성분은 연소된 후 산성비의 원인이 되는 등 환경오염의 주범으로 손꼽히고 있다. 그러나 기존의 황 제거 방법은 값비싼 수소가 필요한 고온 공정으로 비용이 많이 들고, 반면에 수소가 필요 없는 저온 공정을 하려면 소재를 고온 공정으로 얻어야 하고 소재도 불안정한 단점이 있었다.
정 교수는 "이번에 개발된 황 제거용 소재는 저온으로 값싸게 제조될 뿐만 아니라, 제거하기 힘든 황 화합물도 효과적으로 없앨 수 있고 대기 중에도 안정적"이라며 "경유 및 휘발유 등의 황 제거는 물론, 벤젠 등의 방향족화합물 같은 유해물질을 제거'분리하는 데에도 광범위하게 사용될 수 있다"고 연구 의의를 밝혔다.
최병고기자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