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남부권 신공항' 與 총선 공약 검토

한나라당이 4'11총선 공약으로 신공항을 검토하고 있다. 단, 대구경북, 부산'울산'경남 등 영남권 접근성을 확대해 광주'전남'전북, 충청권 일부까지 묶은 '남부권'으로 범위와 개념을 확대한 '남부권 신공항'을 논의 중이다.

한나라당 총선공약개발본부 조원진 지역균형발전팀장은 "총선공약에 남부권 신공항 사업을 약속하자는 의견이 본부 차원에서 공감대를 이뤘다"며 "수도권, 중부권 경제권의 창구가 되고 있는 인천국제공항에 맞는 남부권 경제권을 견인할 신공항 건설이 지역균형발전의 정답이기 때문"이라고 밝혔다.

남부권 신공항은 총선 공약에서 나아가 남부지역 여론을 물어 한나라당 대선 공약으로 채택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당 내부에서 제기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또 이번 신공항 입지 선정은 국내기관에 맡겨서 또 다른 논란거리를 만들 것이 아니라 외국의 중립적인 기관에 입지 선정 용역을 의뢰하고 그 결과에 따라 승복해야 한다는 조건도 구체적으로 나오고 있다.

주성영 대구시당위원장도 이 같은 사실을 이주영 당 정책위의장에게 확인하고 "신공항 무산이 영남권 전체에 던진 충격파가 한나라당 지지 철회를 불렀다는 지적을 당 지도부에 전달했다. 정권재창출을 위해서는 지역균형발전이라는 약속이 꼭 지켜져야 하기 때문에 19대 국회 남부권 신공항은 필수 과제라는 입장을 전달받았다"고 밝혔다.

이명박 대통령이 2007년 대선 공약으로 '동남권 신공항' 건설을 제시해 영남권의 압도적 지지를 얻었지만 지난해 3월 정부는 사업 타당성이 없다며 백지화했다. 영남권 전체의 정부 성토와 반발 기운이 들불처럼 피어올랐고 한나라당 텃밭이라는 수식어가 무색하게 싸늘한 시선으로 집권 여당을 바라보게 됐다.

'대통령의 약속'이 '없던 일'이 된 것도 "좁은 땅덩어리에서 인천공항만으로 충분하다"는 수도권 국회의원들과 수도권 언론의 주도 하에 이뤄져 지역감정도 극에 달했다. 최근 서울의 한 조간신문은 신공항이라는 싹을 없애기 위해 한 고위 당직자의 입장을 마치 당론인 양 '총선공약으로 신공항은 검토 안 한다'고 보도하기도 했다.

박근혜 한나라당 비상대책위원장은 지난해 정부의 백지화 발표 직후 밝힌 "신공항은 당장은 경제성이 없더라도 앞으로는 분명 필요한 것"이라는 입장을 고수하면서 재추진에 힘을 싣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4'11총선에서 부산 서부권 일명 '가덕도 벨트'에 출마 의사를 밝힌 민주통합당 후보들이 '가덕도 신공항'을 공약으로 내걸 움직임이 포착되면서 영남권 감정분열 양상이 재연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정치권에서는 "구체적인 승복 룰을 만들고 전략적으로 움직일 필요가 있다"고 조언하고 있다.

서상현기자 subo801@msnet.co.kr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