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민주통합당 공천 "당 정체성이 잣대"

보편적 복지·경제 민주화 핵심, 잘라내기식 아닌 발탁 형식

민주통합당 공천심사위원회는 9일 '포지티브 공천'과 '정체성 공천'을 4'11 총선의 2대 공천심사 방향으로 잡았다.

강철규 공천심사위원장은 이날 기자간담회에서 "공심위가 생각하는 공천의 이름을 '희망공천'이라고 하고 싶다"며 "방법도 포지티브 공천을 강조하고 정체성을 중요하게 보겠다"고 말했다.

강 위원장의 발언은 2008년 18대 총선 때 '박재승 공심위'와 상당히 다른 방식으로 공천심사를 진행하겠다는 의지를 피력한 것으로 해석된다.

박재승 공심위는 비리 전력자 원천배제, 호남 30% 물갈이라는 기준을 일률적으로 정해놓고 인위적으로 잘라내는 방식을 인적 쇄신의 수단으로 삼는 바람에 일부에서 '공천학살'이라는 비판을 받기도 했다.

'포지티브' 공천이란 특정한 배제기준을 설정한 뒤 여기에 미달하는 후보를 배제하는 것이 아니라 후보 간 경쟁력을 평가할 세부적인 기준을 마련해 경쟁을 촉진하는 방식의 심사를 진행하겠다는 뜻이다. 한 마디로 '나쁜 후보'를 탈락시키는 일보다는 '좋은 후보'를 발굴하는 데 심사의 초점을 맞추겠다는 것이다.

공심위는 그 심사 수단으로 정체성 공천을 내세웠다. 정체성의 개념 자체도 과거와 달리 설정했다. 공심위원인 백원우 의원은 "이번에는 정책적 가치를 중심으로 정체성을 평가할 것"이라고 말했다. 정체성을 평가할 핵심분야는 경제 민주화와 보편적 복지다. 강 위원장은 "경제 민주화는 자유시장 경쟁을 존중하되 경쟁과정의 반칙과 불공정을 엄격하게 규제하겠다는 것"이라고 말했다.

후보의 적합경쟁력을 정교화한 것도 이번 공천심사의 특징이다. 과거에는 여론조사를 통해 후보 간 지지도나 적합도를 묻는 정도의 조사가 이뤄졌지만 이번에는 후보 개개인에 대해 좀 더 세부적인 평가가 이뤄질 수 있도록 지표를 개발하기로 했다. 이는 현역의원의 기득권을 인정하지 않겠다는 공심위의 의지가 반영된 것이기도 하다. 당 관계자는 "후보에 대한 다면평가가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핵심"이라고 말했다.

도덕성 기준 역시 비리 전력자 원천배제를 철칙으로 삼았던 박재승 공심위보다는 완화될 전망이다. 공심위가 후보 등록 시 비정부기구(NGO)에 낸 기부금 자료를 제출토록 한 점이나, 사회봉사활동을 심사항목에 둔 것도 비슷한 맥락에서 이해된다.

공심위가 여성 15% 공천 룰을 둘러싼 논란과 관련해 강 위원장은 "현실적으로 무리 아니냐는 생각도 있지만 당 대표와 협의해서 이들의 정치권 진출 길을 열어주는 데 도움이 되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