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일은 192명이 희생된 '2'18 대구지하철화재참사' 9주기다. 유족들과 부상자들은 끔찍했던 악몽에서는 깨어났지만 서로 반목의 골이 깊어 안전문화재단 설립 등 각종 사안에 대해 한치의 양보없이 대립하고 있다.
◆등 돌리는 유족들
유족들은 갈수록 갈라지는 모양새다. 대구 지하철 참사 관련 모임은 모두 4곳. 대구지하철참사 희생자대책위원회와 2'18 대구지하철화재참사유족회, 지하철참사 부상자대책위원회에 이어 작년 11월 대구지하철화재참사 비상대책위원회가 또 구성됐다.
희생자들의 넋을 위로하는 9주기 추모식도 각기 다른 장소에서 열린다. 희생자 대책위는 18일 오전 9시 30분부터 대구문화예술회관 비슬홀에서 추모식을 연다. 대구지하철화재참사 비대위는 중구 만경관극장 4층에서 추모식을 연다.
희생자 추모 참배를 둘러싼 마찰도 재연될 조짐이다. 지난해 2월 희생자 대책위는 추모식을 마치고 팔공산 용수동 대구시민안전테마파크에 마련된 희생자 추모 조형물 앞에서 참배하려다 인근 상인들의 저지로 무산된 바 있다. 희생자 대책위는 올해도 상인들의 반발을 무릅쓰고 참배를 강행할 예정이어서 충돌이 예상된다.
한편 희생자 대책위가 추모 조형물 인근에 유골 29구를 매장한 사건에 대해 법원은 22일 최종 판결을 내릴 예정이다. 희생자 대책위원장 Y씨는 이 사건으로 검찰이 벌금 200만원에 약식 기소하자 정식 재판을 청구했다.
◆안전문화재단도 제자리걸음
추모사업 중 하나인 2'18안전문화재단 설립도 창립총회를 연 지 2년째가 되도록 답보 상태다. 대구시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30일 행정안전부는 재단설립추진위원회가 제출한 재단설립 승인 요청을 반려했다. 작년 2월 행안부가 재단 설립 신청을 보완 지시한 데 이어 두번째다. 대구시가 지하철참사 국민성금 중 사망자와 부상자 위로금과 치료비 등을 지급하고 남은 75억원을 재단에 출연하겠다는 '출연 증서'를 내지 않았다는 게 이유다.
대구시는 유족 단체 간 입장이 갈려 어쩔 수 없다는 입장이다. 시는 안전문화재단이 지하철 참사와 관련해 다수의 의사가 반영되도록 부상자 가족들을 대변하는 이사를 참여시키고 특정 유족 단체와 관련이 없는 중립적인 인사로 이사진을 구성해야 한다는 것. 또 상임이사 임기를 제한하거나 특정 유족단체 대표가 상임이사를 맡아서는 안 된다는 게 대구시의 입장이다.
대구시 관계자는 "재단이 출범해도 반대 목소리를 내는 유족들이 많으면 정상적인 운영이 어렵기 때문에 유족과 부상자 간 의견 접근을 이루면 다시 추진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에 대해 재단설립을 주도하고 있는 희생자 대책위는 "대구시가 권한 남용을 하고 있다"고 반발하고 있다. 부상자들의 경우 희생자 추모 사업에 대해 법적인 권리가 없고, 대구시도 이를 인정하고 있다는 이유에서다.
희생자대책위 윤석기 위원장은 "대구시는 유족과 부상자들의 의견 불일치를 핑계로 부상자들의 후유 치료와 안전문화재단 설립에 소극적"이라며 "현 이사진 중 상당수도 대구시가 추천한 인사들로 구성됐고, 상임이사 문제는 이사진이 결정할 사항"이라고 반박했다.
장성현기자 jacksoul@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