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사설] 박근혜의 신공항 추진 공약, 미래를 위한 것이다

새누리당 박근혜 비상대책위원장이 어제 방송기자클럽 토론회에서 "신공항은 반드시 추진하겠다"고 약속했다. 특히 박 위원장은 "국가 경쟁력 차원에서 꼭 필요한 인프라라고 생각하기 때문에 현 정부는 폐기했지만 다시 추진하겠다"며 '반드시'와 '꼭'이란 말을 사용했다. 재추진 의사를 확실하게 재천명한 것으로 해석된다. 앞으로 대선 공약으로 채택할 것임을 다짐한 것이라 볼 수 있다.

'영남권'에서 '동남권'으로, 다시 '남부권'으로 이름이 바뀐 신공항은 박 위원장의 지적처럼 국가 경쟁력 확보를 위한 인프라이다. 어느 지역에 혜택을 주고 하는 그런 문제가 아니다. 현재 인천공항을 이용하는 수도권 밖 국민과 기업의 불편과 어려움은 말할 수 없을 정도로 심각하다. 기업엔 접근성이 뛰어난 국제공항은 곧 기업 경쟁력과 직결된다. 안보 차원에서도 신공항은 절실하다. 일본 대지진 같은 재앙에서 이는 드러났다. 만약의 사태 때 현 국제공항 시스템만으로는 대처할 수 없다.

정부가 경제성이 없다며 백지화한 근거인 예측도 빗나갔음이 최근 밝혀졌다. 대구경북연구원 분석에 따르면 정부 예측과 달리 김해공항 이용객은 크게 늘었다. 정부는 2015년 이용객을 821만 명이라 전망했다. 그러나 2010년에 816만 명이 이용했다. 지난해엔 875만 명이었다. 신공항 수요가 충분함을 증명하고 있다.

이처럼 신공항은 필요하지만 지난해처럼 지역 간 갈등과 대립은 안 된다. 그러기 위해선 다른 지역의 동의와 협력이 있어야 한다. 부산의 협력은 필수적이다. 대승적 차원에서 부산의 동의를 이끌어내는 노력이 따라야 한다. 영남권 시'도지사 협의회나 영호남 시'도지사 협의회 같은 협의체 활용도 한 방법이다. 대구시장과 경북도지사의 적극적인 역할을 기대한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