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제 강점기인 100년 전, 전국 주요 도시에 세워져 있던 대형 건축물과 당시의 문화유적, 관광명소 등을 한곳에서 감상할 수 있는 전시회가 열린다.
'근대한국의 명소와 경관전'이 7월 1일까지 대구근대역사관 2층 기획전시실에서 열린다. 대구근대역사관이 주최하는 이 전시회는 1910년 한일강제병합 이후 전국 주요 도시에 들어선 공공시설 등 건축물과 관광명소, 문화유적, 자연경관 등을 담은 실물 사진엽서 50장과 패널사진 120점, 여행지도 2점, 당시 사진기 1점 등을 선보인다.
이번 사진전에서 대구의 옛 시가지 모습을 만날 수 있다. 일제 강점기 대구경북에서 최초로 설치된 대구역의 고풍스런 모습과 광장이 등장한다. 대구역사가 들어서면서 시가지의 중심이 약령시에서 북성로로 바뀌게 된 사실을 이 사진을 통해 관찰할 수 있다.
경부선 개통 당시, 대구의 신천철교를 지나는 열차와 함께 촬영된 시가지 동쪽의 모습이 사진에 담겨 있다. 대구시가의 남쪽 전경을 담은 사진도 선보이는데, 첨탑을 증축하기 전 계산성당의 모습과 기와로 지어진 사제관, 성당 주변의 초가들과 대비되는 사진이 소개된다. 또 당시 대구 최대 번화가로 상업중심지임을 보여주는 백화점과 주점, 곡물상회 등이 담겨 있는 북성로의 옛 모습도 관심을 모으고 있다.
일제강점기 신혼여행지로 인기 있었던 개성의 시가지와 선죽교, 개성역을 담은 사진도 인상적이다. 조선총독부가 설치한 대구부청(지금의 대구시청)과 부산대교와 개성역, 원산부청, 평양대동교, 압록강 철교의 모습이 전시된다.
문화유적과 명소를 찍은 사진도 눈에 띈다. 1920년대 대대적인 정비가 이뤄진 직후의 경주 불국사의 모습, 진주 촉석루, 수원 화성 팔달문, 숭례문, 창덕궁 후원 등도 소개된다.
대구근대역사관 관계자는 "일제강점기 대구와 전국 주요 도시의 모습을 비교할 수 있도록 당시 제작된 엽서에 담긴 사진 등을 모으고 국립중앙박물관 등이 소장한 사진 등을 선별했다"며 "100년 전 전국 주요도시와 삶의 모습, 역사적 전통, 다양성을 확인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053)606-6430.최세정기자 beacon@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野, '피고인 대통령 당선 시 재판 중지' 법 개정 추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