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세계적 작가와 연락 진행…개관 1년 13만여명 다녀가
대구미술관이 26일 개관 1주년을 맞는다. 지난 1년간 대구미술관은 총 14개의 전시를 선보이고 13만여 명이 미술관을 다녀갔다. 대구미술관은 앞으로 블록버스터급 전시를 선보이는 한편 미술관을 찾는 대중들의 취향을 고려해 뉴미디어, 영화, 사진, 패션 등 타 장르의 도입을 시도할 것이라고 밝혔다. 또 전시 이해를 돕기 위해 '아티스트와의 만남''큐레이터 토크''심포지엄' 등 다양한 프로그램을 개발할 것이라고 밝혔다. 대구미술관 2대 관장을 맡은 김선희 관장을 만났다.
-대구 미술을 어떻게 평가하나.
▶1990년대까지 대구 작가들은 현대미술 분야에서 적극적으로 활동했다. 그래서 서울에서 전시를 보러 많은 사람들이 내려오곤 했지만 지금은 그런 흐름이 없다. 현재 대구의 미술은 정체되고 위축돼 있다. 다시 되살아나야 하지 않겠는가.
-대구미술관이 보여줄 블록버스터 전시는 어떤 전시인가.
▶우리가 준비하고 있는 블록버스터 전시는 '지금 보지 않으면 안 될 중요한 전시'의 개념이다. 세계 미술의 흐름을 파악할 수 있는 중요한 국제적인 전시를 직접 기획할 것이다. 이를 위해 세계적인 작가와 연락해 진행하고 있다. 앞으로 대구의 작가들을 해외에 소개할 예정이다. 세계 유수의 미술관과 교류하면서 전시를 수출하기도 하고 미술관과 콜라보레이션 전시를 열기도 할 것이다.
-대구미술관이 갖는 현재 위상은.
▶지금 우리나라 미술관은 부흥기라 여겨지지만 막상 뚜껑을 열어보면 하드웨어에 그치는 경우가 많다. 좋은 국공립 전시장이 잘 없다. 대부분 큐레이터가 계약직이고 정치적인 바람을 탈 수밖에 없다. 국공립 미술관이 연대해서 풀어나가야 하는 문제점이다. 대구미술관에도 경력 있는 인력이 부족하다. 갖가지 조례 등 미술관 경영에 어려움이 있는 부분은 고쳐야 할 점이다.
-대구미술관 개관 1년이 됐다. 앞으로 과제가 있다면.
▶미술관의 수준은 전시와 소장품으로 가늠할 수 있다. 좋은 전시를 하면 많은 사람이 찾을 것이다. 관장마다 미술관을 이끌어가는 스타일이 다르다. 대구미술관이 지역에 충실하되 국제적으로 빛나는 존재감을 발휘하는 것이 가능하다. 특히 지역 미술사 아카이브 축적에 힘을 쏟겠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